광양제철, 쓰레기 소각시설 Dioxin 과다배출
포항제철이 전남 광양에서 운용하는 광양제철소의 산업폐기물 소각시설이 다이옥신 저감시설을제대로 갖추지 않아 많은 양의 다이옥신을 대기중에 무방비로 배출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운동협의회는 2000년 광양제철소 폐기물 소각장의 다이옥신 함량을 측정한 결과 ㎥당 최고 7.892나노그램까지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8월10일 밝혔다. 사업장 쓰레기 소각장의 다이옥신 허용 권고기준은 기존 시설이 ㎥당 40나노그램으로 광양제철소 측정치는 허용치에 해당하지만, 2001년부터 신설되는 사업장의 허용기준은 0.1나노그램으로 대폭 강화됐다. 협의회는 쓰레기 배출량과 소각시설 가동률, 다이옥신 함량 등을 종합 평가할 때 2000년 광양제철소의 다이옥신 배출량은 1999년 서울시내 대형 생활쓰레기 소각시설에서 배출된 다이옥신의 27배나 된다고 밝혔다. 또 광양제철소는 소각로에서 나온 소각재를 고형화 처리해 바다에 매립하고 있어 소각장 가동시 발생하는 다이옥신의 99%가 소각재에 들어있는 것을 감안할 때 인근 바다가 심하게 오염돼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지적했다. 반면, 포항제철은 2000년 광양제철소의 다이옥신 함량은 월 0.8-7.8나노그램으로 가장 많은 달에도 권고기준의 5분의 1에 불과했다고 해명했다. 또 광양제철소는 부지 확장을 위해 인근의 바다를 막아 매립하는 공사를 하고 있으며, 공사에 는 소각재가 5% 정도 포함된 벽돌을 사용하지만 미리 바다와 차단벽을 쌓고 공사를 진행하기 때문에 바닷물에 다이옥신이 용출될 가능성은 없다고 반박했다. <Chemical Daily News 2001/08/11>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플래스틱] 플래스틱, 해양쓰레기 CR 상용화 | 2024-09-02 | ||
[리사이클] AEPW, 플래스틱 쓰레기 감축 성과 | 2023-09-01 | ||
[플래스틱] 플래스틱 쓰레기 컨테이너 “반송” | 2021-04-0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바이오폴리머] PBS,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를… | 2021-12-24 | ||
[리사이클] 폐플래스틱, 쓰레기봉투로 재생 | 2020-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