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자부, 제조업 노동비용 경쟁력 악화
임금상승이 생산성 증가를 초과하는 제조업종의 규모가 전체의 65%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자원부와 한국생산성본부가 1992부터 1999년까지의 8년간 통계를 기초로 분석한 `업종별 노동생산성 및 단위 노동비용 변화추이'에 따르면, 전체 140개 제조업종의 65.7%인 92개 업종의 임금 상승분이 생산성 증가분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평균 단위 노동비용 증가율은 코크스 및 관련제품이 30.8%로 가장 높았으며, 비철금속 1, 2 차 제련 및 정련은 16.2%, 철도장비는 14.8%, 항공기·우주선은 13.9%, 원유 정제처리 분야는 10.7% 등을 기록했다. 단위 노동비용 증가율은 1인당 노동비용 증가율에서 노동생산성 증가율을 뺀 것으로, 0.0%보다 크면 생산성보다 노동비용 증가율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컴퓨터·주변기기의 노동비용 증가율은 -12.2%를 기록했으며, 전자관 및 기타 전자부품은 -10.6%, 통신기기·방송장비는 -11.9% 등을 기록해 지난 8년간 비용경쟁력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주변기기의 연평균 생산성 증가율은 32.6%를 기록해, 31.3%를 기록한 통신기기·방송장비 등과 함께 30%가 넘는 증가율을 보인 반면, 살균·살충제 및 농업용 화학제품 및 건설·광산용 기계는 각각 1.9%, 2.4%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컴퓨터, 반도체, 통신장비 등은 지난 8년간 생산 증가가 고용을 견인한 반면 의복, 신발 등 경공업과 건설·광산용 기계 등 기계류 업종은 생산과 고용이 모두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 것으로나타났다. 또 가죽제품, 가방, 의약품 등의 업종은 생산시설 노후와 노동시장 경직 등의 원인으로 생산이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고용이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Chemical Daily News 2001/09/01>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디지털화] 코오롱, 제조업 인프라 DX 본격화 | 2025-01-16 | ||
[산업정책] 인디아, 글로벌 제조업 중심 부상 | 2021-11-26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산업정책] 중국 경제, EV 중심 제조업 회복세 뚜렷 트럼프 관세 폭탄을 회피하라! | 2025-04-04 | ||
[산업정책] 제조업, 그린전환 투자 본격화한다! | 2024-03-29 | ||
[에너지정책] 싱가폴 화학산업 ②, 반도체가 제조업 중심으로 일본 화학기업 투자 "순풍" | 2021-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