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존, 염소보다 산화력 2배 "높다"
가축에 급여하는 물에 함유된 병원성 미생물을 살균해 수인성 질병의 전파를 차단하고, 수중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켜 가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존처리 기술이 개발됐다. 가축에게 급여하는 물을 오존 처리하면 물의 pH는 6.8에서 8.0으로 높아져 약 알칼리성 물로 변화되고,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량은 6.43ppm에서 8.43ppm으로 31.1% 증가되어 가축이 섭취시 생리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소장 김경남)는 가축에게 급여하는 물에 병원성 미생물인 대장균, 살모넬라균, 포도상구균을 주입하고 오존으로 살균처리시 처리하지 않은 물은 시간이 경과할수 록 미생물수가 증가하는 반면 오존처리를 한 물은 30분 이후에 미생물이 완전히 살균되어 오존 이 살균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오존 처리한 물을 돼지에게 급수한 결과, 급수파이프에 이끼가 끼지 않고, 자돈 설사가 감소하 고, 폐사율이 감소해 모돈 100두를 키우는 농장은 연간 420두의 자돈 생산이 증가한 2205두를 생산함으로써 연간 946만원의 소득이 증가했다. 오존은 분자량이 48, 비중이 1.7인 기체로 염소보다 2배 이상 강력한 산화력을 갖고 있으며 살 균, 탈취, 탈색, 폐수처리 등에 이용이 가능하다. 또 유기물질의 분해, 중금속 제거 등의 특성이 있고 산소보다 용존성이 9배나 높아 오존처리시 용존산소량이 증가하여 선진국에서는 정수장에서 마지막 단계의 살균·냄새제거 등의 고도정 수처리 과정으로 이용하고 있다. 오존은 양면에 날을 갖고 있는 칼과 같아서 잘 이용하면 좋은 성적을 올릴 수 있으나 오용하면 오히려 좋지 않을 수도 있다. 돈사 내부에 급수탱크를 설치하고 오존처리시 돈사에 오존농도가 높아져 피해를 볼 수 있어 반 드시 돈사 외부에 급수탱크를 설치하고 오존처리를 해야 하며 돈사 내부에서 이용할 때는 노출 한계인 0.1ppm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Chemical Daily News 2001/10/12>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환경] 울산단지, 오존 특별점검 실시 | 2020-06-18 | ||
[산업정책] 오존층 파괴물질 감축대책 본격화 | 2017-03-10 | ||
[환경화학] 바스프, 오존처리 인포그래픽 공개 | 2014-07-10 | ||
[환경] 정부, 오존층 파괴물질 감축 지원 | 2014-04-23 | ||
[환경] 중국, 오존파괴물질 감축대책 강화 | 2007-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