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지놈 기술수준 미국의 1%
국내 생물산업 기술수준이 전반적으로 선진국의 60-70%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어 특단의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인간지놈(Human Gemome) 기술에서 한국은 선진국에 5-15년 정도 뒤져 있다는 평가가 일반적이다. 또 신물질 탐색기술과 안전성 평가기술 수준은 매우 뒤떨어져 기술격차가 약 7년에 달하고, 유전체 연구 및 생물정보학과 관련된 기술은 걸음마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인용빈도를 통해 특허의 질적 수준을 나타내는 기술정도(Technology Strength) 역시 선진국에 크게 낮은 수준으로 1992-96년 TS는 90에 불과해 미국 1만2000, 일본 1820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다. 한국은 바이오산업 성장기반이 부실한데 생물산업에 대한 정부지원이 절대적 규모에서 미흡하며 특히 인프라에 대한 투자가 크게 부족하기 때문이다. 표, 그래프: | 바이오분야 특허비중 | 바이오분야의 미국특허 취득현황 | <화학저널 2001/12/24·31>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기술/특허] 실리콘 태양전지 기술수준 85% | 2011-12-15 | ||
[기술/특허] 그래핀, 국내 기술수준 “일취월장” | 2010-12-15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EP/컴파운딩] POM, 코오롱-KEP, 기술수준 더 높여야… | 2015-04-24 | ||
[환경화학] 수처리필터, 기술수준 멀었다! | 2014-02-14 | ||
[천연가스] 셰일가스, 중국 기술수준 “역부족” | 2013-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