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시장서도 중국산에 "밀린다"
일본시장에서 중국산 제품의 시장점유율이 계속 확대되고 있는 반면, 한국산은 줄어들면서 양국간 격차가 커지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KOTRA는 "중국의 일본시장 진출동향 및 한-중 경합관계 분석" 보고서를 통해 일본 수입시장에서 중국산의 점유율은 1990년 5.1%에서 2000년 14.5%, 2001년 16.6%에 이어 2002년 1-2월에는 17.3%로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반면, 한국산의 점유율은 1990년 5.0%로 중국에 처음으로 추월당한 뒤 2000년 5.1%, 2001년 4.9%, 2002년 1-2월 4.3%로 줄어들고 있다. 중국은 특히, 일본수출에서 전기전자 및 기계류의 비중이 1991년 4.3%에 불과했으나 2001년해는 28.5%에 달할 정도로 수출품목구조가 빠른 속도로 고도화됐으며, 일본기업의 중국진출 확대 등에 힘입어 빠르면 2002년 2/4분기부터 미국도 제치고 일본시장 점유율 1위로 올라설 것으로 보인다. 2001년 한-중 양국의 일본수출이 각각 100억엔을 넘는 컴퓨터, TV 등 21개 주요 경합품목이 한국의 전체 일본수출에서 54.2%의 비중을 차지할 정도로 일본시장에서 중국은 한국과 큰 경쟁관계에 있다. 보고서는 중국산과의 가격경쟁이 어려운 만큼 상품 이미지와 품질 경쟁력을 제고시키고 부품·소재 분야의 일본기업을 국내로 유치하는 한편 정보통신 등 새로운 시장에 대한 공략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Chemical Daily News 2002/04/30>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화학무역] 미국, 중국산에 관세 폭탄 “맹공” | 2024-05-23 | ||
[석유화학] HDPE, 중국산에 밀려 경쟁력 하락 | 2024-03-25 | ||
[석유화학] LLDPE, 중국산에 밀려 수입 안해 | 2024-03-11 | ||
[합성섬유] 폴리에스터, 중국산에 반덤핑관세… | 2021-11-1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첨가제] 고무첨가제, 중국산에 이어 유럽,일본산 부상 | 2014-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