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R&D투자 위축 "심각하다"
국내 제조기업들은 2001년 경기침체로 수익성이 악화됐으나 재무구조는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연구개발(R&D) 투자가 계속 감소해 제조업의 경쟁력 약화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산업은행은 최근 매출액 10억원 이상인 123개 업종 3186개 기업을 대상으로 한 [2001년 기업재무분석]을 통해 제조업체의 부채비율이 2000년 185.6%에서 2001년 167.6%로 낮아졌으며 자기자본비율은 35.0%에서 37.4%로 상승했다고 밝혔다. 기업의 단기 지급능력을 나타내는 유동비율도 2000년 92.5%에서 2001년에는 98.7%로 개선됐다. 부채비율은 일본 159.7%, 미국 157.0%에 비해서는 다소 높은 수준이지만 외환위기가 시작된 1997년 433.1%를 기록한 이후 5년째 낮아지고 있다. 하지만, 매출액 증가율은 2000년 20.1%에서 2.6%로 대폭 낮아져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1.1%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을 보였다. 매출액 영업이익률도 2000년 7.5%에서 5.3%로 떨어졌으며 매출액 경상이익률은 2.5%에서 0.6%로 1.9%p 하락했다. 또 R&D투자액은 2000년 6조450억원에서 2001년에는 4조9150억원으로 18.7% 감소했으며, 매출액 중 R&D투자비 비율도 1.16%에서 0.92%로 낮아졌다.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0.83%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이며 일본 3.9%, 미국 4.0%, 독일 4.0% 등 기술 선진국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산업은행은 외환위기 이후 추진된 기업들의 구조조정 덕분에 재무구조가 크게 개선됐지만 국내외 경기침체로 성장성과 수익성은 악화된 것으로 분석했다. 아울러 연구개발투자 확대를 통해 고부가가치상품을 개발하는 등 산업경쟁력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표, 그래프: | 제조업의 주요 경영지표 | 제조업의 주요 경영지표 추이 | <Chemical Daily News 2002/05/13>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디지털화] 코오롱, 제조업 인프라 DX 본격화 | 2025-01-16 | ||
[산업정책] 인디아, 글로벌 제조업 중심 부상 | 2021-11-26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산업정책] 중국 경제, EV 중심 제조업 회복세 뚜렷 트럼프 관세 폭탄을 회피하라! | 2025-04-04 | ||
[산업정책] 제조업, 그린전환 투자 본격화한다! | 2024-03-29 | ||
[에너지정책] 싱가폴 화학산업 ②, 반도체가 제조업 중심으로 일본 화학기업 투자 "순풍" | 2021-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