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소비고급화 대책 "시급하다"
2002년 1-3월 최종 에너지 소비는 산업 및 수송부문이 증가한 반면, 가정상업부문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가정상업부문은 석유제품 및 도시가스, 열 소비가 감소한 반면 전력 소비는 10% 이상 증가해 소비고급화에 따른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산업자원부에 따르면, 산업부문은 1-3월 에너지 소비가 전년동기대비 3.1% 증가한 2175만TOE를 기록했다. 제철 시멘트용 유 무연탄 소비증가와 산업활동 활성화에 따른 도시가스, 전력 등 모든 에너지원의 소비가 증가했다. 크랭카 생산량은 2001년 1-3월 792만6000톤에서 2002년 1-3월 985만3000톤으로 24.3% 증가한 반면, 선철 생산량은 640만3000톤에서 638만5000톤으로 0.3% 감소했다. 수송부문 소비량은 801만TOE로 전년동기대비 9.8% 증가했다. 산업 생산활동 활성화에 따른 출하량 증가로 경유 소비가 증가했으며, 자동차 보유대수 증가에 따라 휘발유, LPG(부탄) 소비도 증가했다. 경유 소비는 2000년 1-3월 2060만5000배럴, 2001년 1-3월 2134만9000배럴에서 2002년 1-3월 2328만9000배럴로 9.1% 증가했고, 휘발유는 1453만3000배럴, 1396만9000배럴에서 1504만배럴로 7.7%, 부탄은 650만톤, 701만5000톤에서 815만9000톤으로 16.3% 증가했다. 3월 수송부문 소비는 전년동월대비 12.2% 증가한 301만TOE를 기록했는데 경유 12.1%, 휘발유 15.0%, 항공유 10.7%, LPG(부탄) 12.5% 증가했다. 가정상업부문 소비량은 전년동기대비 3.4% 감소한 1260만TOE를 기록했다. 예년보다 온화한 기온의 영향으로 난방용 석유제품 소비 및 지역난방용 열 소비가 감소한 반면, 소비고급화 급진전으로 전력 소비는 급증했다. 석유 소비는 2001년 1-3월 4235만4000배럴에서 2002년 1-3월 3804만배럴로 10.2%, 도시가스는 4165만㎥에서 4079만㎥로 2.1%, 열 소비는 5421Tcal에서 5067Tcal로 6.5% 감소했다. 반면, 전력 소비는 20002년 1-3월 2만7283Gwh, 2001년 1-3월 2만7283GWh에서 2002년 1-3월 3만301GWh로 11.1% 증가했다. 표, 그래프: | 산업생산 지수 및 평균가동률 | 생산자 출하지수 | 에너지 소비동향 비교 | <Chemical Daily News 2002/05/29>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안전/사고] SK에너지, 정유공장 정기보수 중단 | 2025-10-21 | ||
[배터리] LG에너지, 열 폭주 막는 전해질 기술 개발 | 2025-10-20 | ||
[안전/사고] SK에너지, 울산공장 사망 사고 “사과” | 2025-10-20 | ||
[안전/사고] SK에너지, 울산공장 수소 배관 폭발 | 2025-10-17 | ||
[배터리] LG에너지, ESS 호조 덕분에… | 2025-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