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R&D투자 G7수준 확대
2010년까지 연구개발(R&D) 투자규모를 G7수준으로 확대하고, 산업4강 진입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에 3조원을 투입한다. 또 지역산업보조금제 도입을 위한 지역산업발전촉진법(가칭) 제정이 추진되고, 생산성에 바탕을 둔 임금조정을 정착시키기 위한 방안도 마련된다. 산업자원부와 경제5단체는 7월30일 신국환 장관과 경제5단체장, 관련업계, 학계, 연구기관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내 산업경쟁력을 세계4강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실천전략인 [2010 산업비전과 발전전략]을 확정·발표했다. 발전전략에 따르면, 국민 1인당 R&D 투자규모를 2000년 403달러에서 2010년에는 G7 평균 수준인 1391달러로 확대하고 1-2단계로 나눠 200개 핵심전략기술 개발에 3조원을 투입키로 했다. 현재 R&D 1인당 투자비는 403달러로 OECD 평균 535달러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계획대로 투자되면 1인당 투자비는 현재의 3배가 넘는 1391달러에 이르게 되는데 GDP에서 5.5%를 R&D에 투자할 계획이다. 표, 그래프 | 주력 기간산업 및 미래산업의 달라지는 모습 | OECD 국가의 R&D 지출규모(2000) | <화학저널 2002/8/26>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배터리] 삼성SDI, 배터리 R&D투자비중 1위 | 2020-09-09 | ||
[기술/특허] 석유화학, R&D투자 비중 0.77% | 2019-12-27 | ||
[기술/특허] 화학소재, 일본 R&D투자가 41배 | 2019-08-26 | ||
[기술/특허] 에쓰오일, R&D투자 확대 “1등” | 2019-05-0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기술/특허] R&D투자, 일본·중국 R&D 경쟁 한국은 경쟁상대 못된다! | 2019-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