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PC 연구개발 적극 지원!
|
관련기업 연구개발비 지원 요망 … 타이완이 세계시장 15% 점유 PC수요 증가율이 둔화되고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면서 정보기기, 가전기기, 통신기기 간 기술 융합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Post PC 관련 기업들의 경쟁이 한창이다.국내 Post PC 관련 기업들은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공통핵심 기술개발 분야로 부가기능 모듈 및 통신망 개발을 꼽았으며, 연구개발비 등 정부의 직접적인 지원을 필요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자원부가 전자부품연구원(Post PC 지원센터)과 공동으로 단말기, 부품, 소프트웨어 및 솔루션, 서비스 등 4개 분야의 총 161개 기업에 대해 설문 조사한 바에 따르면, 정부에 대한 정책수요 조사에서 전체의 68.3%인 110개 기업이 직접적인 자금지원을 선호해 Post-PC 기업들이 연구개발비 지원, 정책자금 지원 등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Post PC 산업에서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공통핵심 기술개발 분야는 부가기능 모듈 및 통신망 개발에 대한 응답이 많았으며, 소프트웨어와 솔루션 관련 기술, 디스플레이, 2차전지에 대한 관심도 높았다. 한편, 업계 지원기관인 Post PC 지원센터가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사업으로 전문정보 지원, 국제 협력사업 지원, 기능 및 성능검증 지원 등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장기적으로 정보센터와 인증기관으로서의 위상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이에 따라 Post PC 지원센터는 2002년부터 추진된 공동실험실 구축, 전문정보 제공 등의 사업을 계속 진행하는 한편, 2003년부터는 산-학-연 협의체를 구성해 상호보완적인 기술협력을 이끌어내고 인력 양성, 기능 및 성능 검증 제고 등으로 관련 기업들의 시장 진출을 적극 뒷받침할 계획이다. 또 Post PC 산업이 IT 산업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만큼 미국, 일본 등 IT 선진국과의 국제적 협력을 도모하며, 전세계 Post PC 시장의 15% 정도를 점유하고 있는 타이완의 벤처 기업들과의 연계도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산자부는 Post PC산업 발전을 위해 2001년부터 Post-PC 지원센터를 설립해 2006년까지 40억원을 지원하고, 디지털 가전형 Post-PC 플랫폼 기술개발에 2005년까지 192억원을 투자한다. <조인경/화학저널 편집기자> 표, 그래프: | 공통핵심 기술개발 분야 | <Chemical Journal 2003/02/20>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EP/컴파운딩] PC, 블루라이트 사양 개발 본격화 | 2025-11-05 | ||
| [EP/컴파운딩] PC, 성형성 강화해 고부가화한다! | 2025-10-29 | ||
| [EP/컴파운딩] PC, 산호 조각으로 환경부하 저감 | 2025-10-01 | ||
| [리사이클] PCR, 원료 회수‧추적이 핵심 | 2025-09-08 | ||
| [EP/컴파운딩] PC, 이종소재 접합해도 기능 유지 | 2025-09-0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