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다이옥신-PCB 함께 규제
|
국립환경연구원, 우선관리대상 물질로 지정 … 대부분 국가에서 미비 다이옥신과 PCB 등 인체에 유해한 것으로 알려진 화학물질들이 중앙·북동아시아 지역에서 우선관리대상 물질로 지정됐다.국립환경연구원(원장 이덕길)은 유엔환경계획(UNEP) 및 지구환경금융(GEF) 사업으로 추진된 <잔류성유해화학물질 지역실태평가사업>에서 환경 중 잔류상태, 생체·인체에 미치는 영향, 오염원 등을 고려해 중앙·북동아시아 지역에서의 우선관리대상 물질로 다이옥신 및 PCB 등을 선정했다. <잔류성유해화학물질(PTS)의 지역실태평가사업>은 UNEP에서 지난 2년 동안 수행한 사업으로 전세계를 12개의 지역으로 나누어 평가한다. 한국은 중앙· 동북아지역 Ⅶ 지역에 속하며, 이 지역에 대한 잔류성 유해화학물질 관리 현황에 대해 분석·평가했다. 우선관리물질은 대기·수질·토양·생물체 등 각 국의 환경매체에서의 잔류농도 및 오염원, 생태 및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이동현상 등에 대한 물질별 연구분석과 수 차례의 지역 전문가 회의, 그리고 정책 입안자, 산업체, NGO 등이 참석한 워크샵을 통해 결정됐다. 중앙·동북아지역 Ⅶ 지역 차원의 잔류성 유해화학물질의 관리상 문제점으로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재원 및 기술, 전문인력, 교육, 일반인들의 인식 등이 부족해 여러 방면에서 미비한 것으로 제기됐다. 또 잔류성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중앙 및 북동아시아 지역에서 국가 간 협력체계로는 한국과 일본의 협력사업이 유일하며, 향후 지역 내 국가 간의 협력체계가 더욱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잔류성유해화학물질 지역실태평가사업> Ⅶ 지역(중앙 및 북동아시아지역) 보고서의 최종안은 최근 UNEP에 제출돼 종합보고서 작성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향후 각 지역의 우선 실천사항에 대한 지침을 제시할 전망이다. 이번 사업에 참여한 중앙· 동북아지역 Ⅶ 지역 국가로는 한국을 비롯해 중국, 일본, 북한, 러시아, 카자흐스탄, 키르지스탄, 몽고,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등이 포함됐다. <조인경/화학저널 편집기자> <Chemical Journal 2003/02/28>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석유화학] M-X, 아시아 시장 등락 엇갈렸다! | 2025-11-06 | ||
| [석유화학] 톨루엔, 아시아 수요 회복에 반등 성공! | 2025-11-05 | ||
| [석유화학] 벤젠, 업스트림 강세에 아시아 오름세… | 2025-10-29 | ||
| [석유화학] 가성소다, 아시아 등락 엇갈렸다! | 2025-10-27 | ||
| [제약] LG화학, 아시아 최초 WHO 밀폐 인증 | 2025-10-2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