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산, 없어서 팔지못할 지경이다! 황산 시장이 2003년 호황을 맞이할 것으로 예상된다.현재 국내 황산가격은 전년대비 15% 이상 상승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가격강세는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비수기인 3월 재고물량은 보통 8만톤 정도였으나 2003년 들어서는 수요초과와 공급감소로 3만톤 정도밖에 비축하고 있지 않아 추가 가격인상이 불가피한 상태이다. 원유가 상승으로 유황을 원료로 황산을 생산하는 기업들이 생산에 차질을 빚게 돼 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상태이고, 세계시장 수급도 중국수요 증가로 타이트한 상황이어서 비료용 자가소비량을 제외한 수출물량이 50% 이상을 차지하는 국내시장도 영향을 받아 공급이 타이트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유황가격은 2002년 평균 톤당 30달러 대를 유지했으나 2003년 현재 50-60달러로 치솟아 유황을 연소시켜 황산을 제조하고 있는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유황의 Spot가격은 2002년의 3배에 가까운 80달러 대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서 유황을 원료로 황산을 생산하는 기업은 남해화학과 동부한농화학, 카프로 등이 있는데, 자가소비용(비료 생산)을 제외한 30만톤 정도를 공업용으로 공급하고 있다. 남해화학은 120만톤을 생산해 100만톤 정도를 자가소비하고 있으며 동부한농화학은 40만톤을 생산해 35만톤을 자가소비하고 있다. 2002년 중국의 황산 시장규모는 3200만톤으로 매년 10% 이상씩 증가하고 있으며, 중국의 황산 생산 및 수요는 2001년부터 시작된 「제10차 경제발전 5개년 계획기간」부터 현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의 황산 생산기업들은 규모가 작고 영세하며 Pyrite(황산철)을 원료로 생산해 환경문제를 유발할 수 있어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점차 생산을 줄이고 있기 때문에 공급부족을 가져왔으며 더불어 세계 황산시장의 수급 타이트를 초래하고 있다. 표, 그래프 | 황산 공급현황(2002) | 황산 수출추이 | 중국의 황산 수급현황(2002) | 일본의 유황 수급현황 | 일본의 황산 수출실적 | 일본의 황산 수급동향 | 중국의 황산 생산추이 | 중국의 황산 수출입 실적 | 중국의 황산 소비비중(2002) | <화학저널 2003/4/7>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무기화학/CA] 차아황산소다, 중국산 반덤핑 판정 | 2025-09-29 | ||
| [안전/사고] 에너지머티리얼즈, 또 황산 누출 | 2025-09-24 | ||
| [안전/사고] SK넥실리스, 정읍공장 황산 유출 | 2025-08-19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무기화학/CA] 황산, 전략적 화학소재로 변신한다! | 2025-09-26 | ||
| [정밀화학] 황산, 2027년 285억달러 성장 고순도화가 경쟁력 좌우… | 2025-09-1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