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asell 폭풍에 신수요 개척 대응한다! PP(Polypropylene) 가격이 2003년 6월 CFR SE Asia 톤당 695달러에서 2003년 7월 CFR SE Asia 톤당 720달러로 한달만에 25달러 상승했다.상대적으로 낮았던 수출가격이 상승해 국내시장의 메리트가 없어졌고, 국내기업들은 등한시했던 수출시장에 관심을 갖기 시작해 중국을 위주로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대부분의 PP 생산기업들은 시장점유율 확대보다는 값비싼 고부가가치제품 판매에 주력해 수익성 확보를 우선시하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현대석유화학은 내수와 수출에 차별을 두지 않는 판매전략을 펼치고 있고, 호남석유화학은 Copolymer 및 Terpolymer 위주로 판매하고 있다. SK는 수출가격이 크게 좋아진 Yarn과 CoPP를 특화상품으로, 효성은 Ethylene Random PP를 주력제품으로 삼고 있고, 폴리미래는 경쟁기업에서 생산하지 못하는 Melt-Blown 등 특화제품으로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이외에 대한유화, 삼성종합화학 및 LG-Caltex정유도 그레이드 또는 물성별로 분류해 차별화 판매하고 있다. 표, 그래프 | 세계 PP 생산능력(2002) | PP 생산기업 비교분석(2002) | PP 생산기업 비교분석(2002) | 중남미의 PP 생산능력(2002) | 북미의 PP 생산능력(2002) | 중앙/동유럽의 PP 생산능력(2002) | 서유럽의 PP 생산능력(2002) | 중동/아프리카의 PP 생산능력(2002) | 일본의 PP 생산능력(2002) | 아시아·태평양의 PP 생산능력(2002) | <화학저널 2003/8/25>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석유화학] PP, 수요 실종·관망세 속 하락 악순환 한다! | 2025-10-21 | ||
| [바이오폴리머] PLA, 도시락 용기용 PP를 대체한다! | 2025-10-16 | ||
| [석유화학] PP, 인디아 공급과잉에 무너졌다! | 2025-10-13 | ||
| [석유화학] PP, 연휴 앞두고 거래 잠잠하다! | 2025-09-30 | ||
| [에너지정책] 사이언스코, PPA로 경량화에 성공 | 2025-09-2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