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pacity ◆ 2002년 세계 MEK(Methyl Ethyl Ketone) 생산능력은 114만8000톤으로 북미지역은 미국의 Shell 13만5000톤, Exxon 13만5000톤, Celanese 4만톤 등 31만톤, 유럽은 영국의 Exxon 13만5000톤, 네덜란드의 Shell 8만5000톤, 독일의 Sasol 6만2000톤, 프랑스의 Atofina 5만톤, 남아프리카의 Sasol 5만8000톤으로 총 39만톤의 생산능력을 보유했다. ◆ 아시아는 일본의 Maruzen 14만톤, Tonen 9만톤, Idemitsu 4만톤으로 총 27만톤이며, 중국 6만7000톤, 타이완 6000톤, 인디아 1000톤으로 40만7000톤의 생산능력을 보유했고, 남미지역은 브라질의 Oxiteno 3만톤, 아르헨티나의 SOL 1만1000톤으로 4만1000톤에 불과했다. ◆ 국내 MEK 플랜트는 SK가 1998년 이전까지 건설할 계획이었으나 다른 플랜트에 비해 건설비용이 많이 들고 감가상각에 걸리는 기간이 길어 취소됐다. SK는 Condea Sasol에서 플랜트 Licence 지원을 약속받은 후 Sasol의 MEK를 Free-Marketing 형태로 수입하기 시작했으며 현재까지 Sasol에서 들여와 공급하고 있다. ◆ 세계적으로는 Ketone계 용제가 환경문제와 관련해 VOCs(Volatile Organic Compounds) 규제 대상으로 설정돼 있어 신증설이 없으며 MEK의 증설은 기존 생산기업들이 정기보수 시 Debottlenecking을 통한 생산량 확대에 한정되고 있다. ◆ 2003년 MEK 플랜트 정기보수는 일본의 Tonen이 8월 플랜트 이상으로 보수를 실시했으며, 9월에는 Shell USA가 트러블로 인해 임시 보수를 실시했고 Condea Sasol과 Sasol Germany가 10월 각각 정기보수를 실시했다. 표, 그래프 | 국내 MEK 수급동향 | 세계 MEK 수급동향 | 세계 MEK 생산능력(2003) | 국내 MEK 시장점유율 | MEK 가격추이 | 국내 MEK 수입현황 | <화학저널 2004/1/12>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올레핀] MEK, 장기간 약세행진 “종료” | 2020-12-14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아로마틱] 용제 ②, 일본, MEK·MIBK 생산 확대 시뮬레이션 통해 사용 최적화… | 2024-12-20 | ||
[석유화학] 용제, LG·이수에 SK 합류 MEK는 퇴출을 본격화한다! | 2024-03-08 | ||
[석유화학] MEK, 일본산 수입 돌아온다! | 2023-09-08 | ||
[올레핀] MEK, 중국산이 일본산 밀어냈다! | 2020-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