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력증강제, 공급 많고 가격 낮고
중소 생산기업 난립 … 가격은 바닥권으로 공급기업 수익성 악화 국내 지력증강제 시장규모는 2만7000톤 정도로 추정되는데 생산기업들은 증설된 생산능력보다 현저히 낮은 가동률을 유지하고 있으며 가격은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지력증강제는 사용법에 의해 내첨 지력증강제와 표면증강제로 나뉘며 내첨 지력증강제는 다시 건조지력증강제와 습윤지력증강제로 구분된다. 건조지력증강제는 크게 천연고분자물질과 합성고분자물질로 나눌 수 있는데 건조지력증강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천연고분자물질은 양성전분과 식물성 검(vegetable gum)이 있으며, 합성고분자 지력증강제로는 아크릴아미드계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건조지력제의 시장규모는 솔루션 기준 1만2000톤 정도로 추정되며, 생산은 한국에카화학, 라이지오케미칼이 주도하는 가운데 국도화학, 고제, Bayer, 자경케미칼이 생산에 일부 참여하고 있다. 건조지력증강제는 라이너지의 강도 증강에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라이너지 생산변동에 연동해 수요량이 증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라이너지 생산량은 1998년 144만톤, 1999년 169만톤으로 증가세를 타고 2000년 196만톤, 2001년 203만톤, 2002년 213만톤을 기록하며 약 5% 정도 증가해 자연증가분 정도에 그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조지력증강제도 라이너지의 증가분인 5% 정도의 증가추세를 이어온 것으로 분석된다. 건조지력증강제는 음이온, 양이온, 양쪽성 이온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음이온은 고형분의 농도가 12.5% 또는 15%이고 양이온은 10%, 양쪽성 이온은 15-20%이다. 그래프, 도표<라이너지 생산추이> <화학저널 2004/2/9>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올레핀] 바스프, 아시아 최초 바이오 DMAPA 공급 | 2025-10-15 | ||
[국제유가] 국제유가, G2 갈등에 공급과잉 우려 겹쳐 “하락” | 2025-10-15 | ||
[석유화학] PP, 인디아 공급과잉에 무너졌다! | 2025-10-13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나프타, 공급과잉으로 수요 감소 바이오화 전환 서둘러라! | 2025-10-17 | ||
[정밀화학] 가성소다, 중국발 공급과잉으로 위기감 인디아·동남아 수요를 잡아라! | 2025-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