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Butene 활용도 최저수준
화학제품용 활용비율 3% 불과 … 응용분야 확대방안 모색해야 중국에서 Butene 활용도가 낮아 Butene과 주요 유도제품 수입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부텐은 n-Butene과 Isobutene으로 분류되며 n-Butene은 1-Butene, Cis-2-Butene, Trans-2-Butene으로 분류된다. Butene은 C4 자원의 중요한 부분이며 화학산업에서 막중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데 부텐의 다운스트림 제품에는 고무, 플래스틱, Plexiglass, 고급 코팅(High Grade Coatings) 등이 있다. 중국에서는 부텐을 주로 석유정제 플랜트와 에틸렌(Ethylene) 크래커의 C4 분해과정에서 생산하고 있다. 또 소규모 에틸렌 크래커의 Ethylene Dipolymerization 과정에서 일부 생산하기도 하지만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생산량이 적다. Sinopec(중국석유화학총공사)에 소속된 29개의 부텐 생산기업들은 2000년 LPG (Liquified Petroleum Gas) 620만톤을 생산했다. 21개 정유기업들은 석유정제 과정에서 부산물 3916만톤을 생산했는데 LPG가 약 500만톤에 달했다. Propylene 146만톤을 분리하고 나면 Propane 46만톤, Isobutane 80만톤을 포함한 Butane 113만톤, Isobutene 70만톤을 포함한 Butene 163만톤이 생성된다. Propane과 Butane은 자동차의 LPG 연료로 사용될 수 있지만 생산기업이 그리 많지 않은데, 중국의 Propane과 Butane 생산기업으로는 Yanshan Petrochemical, Shijianshuang Petrochemical, Shanghai Petrochemical, Guangzhou Petrochemical 등이 있다. 표, 그래프 | 중국의 Butene 및 주요 유도제품 수입량(2002) | Sinopec의 Butene제품 생산량(2000) | <화학저널 2004/3/1>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LDPE, 재고·전망·중국 변수에 하락 가속화 | 2025-10-20 | ||
[국제유가] 국제유가, 미국-중국 무역갈등에 62달러 아래로… | 2025-10-16 | ||
[에너지정책] K-배터리, 중국에 끝없이 밀려나고 있다! | 2025-10-15 | ||
[헬스케어] 헬스케어, 중국 불확실성 커진다! | 2025-10-14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플래스틱] 플래스틱 수출, 중국 중심 예측된 “지각변동” 한국, 직격탄 맞고 휘청거린다! | 2025-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