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 체감경기도 “꽁꽁 얼다”
전경련, 12월 체감경기 7개월 연속 악화 … 코스트 고공행진으로 대기업들이 현장에서 느끼는 체감경기가 12월에도 나아지지 않고 7개월 연속 악화될 것으로 전망됐다.전국경제인연합회가 매출 600대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해 발표한 <기업경기동향 조사>에 따르면, 12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82.2로 기준치 100을 상당 폭 하회했다. 2004년 6월 이후 7개월 연속 100을 밑도는 것으로 10월 99.2로 기준선 100을 돌파할 듯하던 지수가 다시 확연한 하락세를 보임으로써 장기화되고 있는 경기침체에서 벗어나기가 상당히 어려운 질정임을 나타냈다. 11월 BSI 실적치도 82.2로 7개월 연속 기준치를 하회했으며 지수 상으로도 전월대비 무려 10p나 떨어졌다. BSI는 기업들의 체감경기를 지수화한 것으로 기준치 100을 넘으면 해당월의 경기를 전월에 비해 밝게 보는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많음을, 100 미만이aus 반대를 의미한다. 경공업(76.5) 분야에서는 지속적인 소비심리 위축의 영향으로 음식료(74.2), 섬유(69.2) 등 대부분 업종이 부진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중화학공업(80.7) 분야에서는 비금속광물(46.2), 1차금속(74.2), 철강(70.8) 등을 중심으로 부진을 예상했다. 비제조업(86.7) 분야에서는 건설(60.0), 도매ㆍ상품중개업(87.2)을 중심으로 부진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상ㆍ음향ㆍ통신장비(73.0), 반도체ㆍ컴퓨터ㆍ전기(84.2), 통신ㆍ정보처리(85.0) 등 정보통신산업에서는 전 업종이 부진을 전망했다. 정유(140.0)는 동절기 도래에 따른 난방유 수요 기대와 정제 마진 증가 등으로 호전을 전망했으며, 실적 또한 호전(160.0)을 나타냈다. 화학제품 및 제약(87.5)은 환율하락, 내수부진의 지속, 고유가 및 원료가격 고공행진 등 각종 코스트 상승요인으로 부진을 전망했으며 실적(75.0) 또한 부진했다. 고무 및 플래스틱(88.9) 역시 내수부진의 지속과 원고에 따른 수출애로, 고유가, 원자재가격 상승 등으로 전월대비 부진을 전망했으며 실적(66.7) 또한 부진했고, 섬유(69.2)도 원고에 따른 채산성 악화, 내수판매 부진, 소비심리 악화, 중국 등 경쟁국과의 경쟁심화 등으로 전반적 부진을 전망했으며 실적(61.5) 또한 부진했다. 내수(97.3)는 비금속광물(30.8), 1차금속(64.5), 철강(58.3), 나무ㆍ목재(75.0)를 중심으로 부진한 가운데 정유(140.0), 전력ㆍ가스(154.5) 등은 고유가 및 동절기 등의 요인으로 호전될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94.5)은 환율하락에 따라 영상ㆍ음향ㆍ통신장비(78.4), 자동차ㆍ트레일러(87.8) 등을 중심으로 부진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경련은 ▲원화환율 급락에 따른 수출기업의 채산성 악화 ▲장기화된 소비심리 위축 ▲고유가를 비롯한 원자재가격 상승 등으로 경기침체가 장기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경제심리 안정을 통해 투자와 소비심리를 회복할 수 있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화학저널 2004/12/06>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석유화학, 금융권도 재편 압박 | 2025-09-30 | ||
[화학경영] 금호석유화학, 경영권 분쟁 재점화 | 2025-09-30 | ||
[화학경영] 태광산업, 석유화학 재편 속도낸다! | 2025-09-2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석유화학, 원료 불확실성 확대된다! | 2025-10-02 | ||
[석유화학] 석유화학 재편 ② - 일본, 통폐합에 차별화 강화 스페셜티도 안심 못한다! | 2025-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