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10대 뉴스] 새집증후군, 사회문제로 규제강화
건축용 화학제품 사용 규제 강화돼 … 친환경 신제품 매출 본격화 아이들의 아토피성 피부염 등 새집에 이사갔을 때 심해지는 건강상 문제점을 일컫는 새집증후군의 발병원인이 벽지, 바닥재, 페인트, 접착제에 사용된 유해화학물질로 판명되면서 이에 대한 환경규제가 강화됐고 화학기업들은 친환경 제품으로 이에 맞대응하는 움직임이 한결 강화됐다.환경부는 2004년5월30일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을 도입해 벤젠, 톨루엔, 클로로포름, 아세톤, 포름알데히드 등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대한 방출규제가 본격화 됐다. 이에 따라 페인트, 접착제를 비롯한 건축자재 관련 기업들은 앞 다투어 친환경 신제품 출시에 열을 올렸는데, 페인트, 접착제 시장에 있어 톨루엔, 자일렌 등의 용제의 사용을 줄이고 유성보다는 수성제품에 대한 신제품 개발에 주력하는 등 웰빙 트랜드에 힘입어 시장지배력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아울러 생산기업 마다 “친환경 기업 이미지 만들기”에 주력해 환경마크 획득이 남발되다시피 했다. 그러나 내수위축의 영향으로 저가의 건축자재가 선호되면서 예상보다 친환경 수요가 활발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는데, 한 생산관계자는 “친환경 매출 비중은 아주 적은 부분에 지나지 않으나 향후 친환경 제품 개발만이 생존의 지름길”이라며 새집증후군을 타겟으로 한 신제품은 2005년에도 쏟아져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정부에서도 공공기관에 친환경 상품 구매 의무화를 비롯해 규제 항목의 공식화가 점차 강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어 건축자재 관련 기업들은 2005년부터 친환경제품 수요가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주인경 기자> <화학저널 2004/12/19>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화학경영] 화학산업 10대 뉴스(2024), 글로벌 위기 속 국내 리스크까지 석유화학, 수익 침체로 우울하다! | 2024-12-20 | ||
[산업정책] 화학산업 10대 뉴스(2023), 중국발 경기침체 "심각" 인디아·친환경이 뜬다! | 2023-12-15 | ||
[산업정책] 2022년 10대뉴스, 경기침체에 수요 감소 "위기" 바이오·리사이클로 대응한다! | 2022-12-16 | ||
[산업정책] 화학산업 10대 뉴스(2021), 석유·석유화학 시장 요동 속 리사이클·바이오 투자 확대했다! | 2021-12-17 | ||
[산업정책] 화학산업 10대 뉴스(2020), 코로나19 엄습에 사건사고 다발… 화학산업 환경 쉴새없이 요동쳤다! | 2020-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