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냉장고용 플래스틱 기술수준은?
|
특허청, 김치냉장고 관련특허 출원 급증추세 … 소재개발 뒤따라야 김치냉장고 관련기술의 특허 출원이 최근 3년간 연평균 250건을 상회하면서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어 관련 플래스틱 소재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된다.특허청에 따르면, 김치냉장고 관련특허 출원은 1997년부터 본격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해 2000년에는 140건으로 늘어났으며, 2001년부터는 이전의 약 2배에 이르는 출원규모를 유지하고 있다. 특허 출원되는 김치냉장고의 기술유형으로는 김치냉장고의 구조에 관한 기술, 온도제어에 관한 기술, 김치의 숙성과 관련된 기술, 김치 이외의 식품저장기술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 김치냉장고의 구조에 관한 기술로는 사용자의 편의성과 저장용량의 대형화에 초점을 둔 것이 많고, 온도제어에 관한 기술로는 저장 실내를 정온으로 유지하기 위해 냉장고문을 여닫는 횟수와 시간을 감안한 것과 5면 입체냉각 등 저장실내의 상ㆍ하부의 온도차를 감소시키는 기술이 대부분이다.
기술유형의 특허 출원은 냉장고의 구조에 관한 기술이 전체의 66%로 주류를 이루고 있고, 다음으로 온도제어기술이 17%, 김치의 숙성과 관련된 기술은 12%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냉장고의 구조에 관한 기술의 출원이 감소하는 추세인 반면, 온도제어기술과 숙성관련기술의 출원비율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김치맛 맛보기를 희망하고, 숙성된 김치맛을 오래도록 유지하기를 원하는 소비자들의 요구와 깊은 연관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출원인은 대기업이 전체의 67%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다음으로 개인 29%, 중소기업 4% 순이다. 최근에는 개인출원비율이 전체의 40%를 상회하는 수준으로까지 증가하고 있는데 김치냉장고의 주요 고객이 일반가정의 주부여서 사용상 불편했던 점들이 특허 출원으로 반영되고 있다. 김치냉장고에 대한 출원구조의 변화는 소비자의 시대적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기술의 진보라고 해석돼 소비자가 기술진보의 주체가 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되고 있다. 앞으로도 김치냉장고는 냉장고구조의 개선에 관한 기술보다는 온도제어, 숙성차별화에 관련되는 특허 출원의 증가가 예상되며, 김치냉장고가 입맛따라 다양한 김치맛을 구현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김치 이외의 식품저장고로서의 역할도 점차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개인의 특허 출원이 급증하고 있어 김치냉장고 제조용 플래스틱 소재를 개발하는 노력으로 연결되지 못함으로써 신기술 적용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표, 그래프: | 김치냉장고 관련 주요 특허 출원기술 | <화학저널 2004/12/24>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바이오연료] 우석이엔씨, 혼합 플래스틱도 친환경화 | 2025-10-24 | ||
| [첨가제] 달걀껍데기, 플래스틱용 항균제화 | 2025-10-23 | ||
| [리사이클] 폐플래스틱, 글로벌 환경규제 대응 시급하다! | 2025-10-15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리사이클] 플래스틱, 리사이클 전략 수립 시급하다! | 2025-10-31 | ||
| [플래스틱] 플래스틱 수출, 중국 중심 예측된 “지각변동” 한국, 직격탄 맞고 휘청거린다! | 2025-10-1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