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화학공업은 미국이나 일본 등의 화학공업과 그 구조적 측면에서 큰 차이가 있다. 즉 미국 화학공업이 석유화학의 Up Stream 중심이라면 유럽 화학공업은 Down Stream을 중심으로 발달되어 있다. 그러나 유럽 화학공업은 80년대 들어서 여러가지 시련을 겪게 된다. 첫째, 원료의 안정적 공급과 경제적인 조달이 문제로 대두된다. 예를들면 양산체제의 석유화학공업이 장차 산유국과의 경쟁에서 어떻게 대응해야 할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두번째, 점점 심화되고 있는 환경관련 규제로 인한 생산원가의 상승요인이다. 서독은 이미 시행되고 있는 폐수배출 과징금 외에도 EC차원에서 검토중인 CO2 배출과징금과 병행해 유해폐기물세를 제안해놓고 있다. 표, 그래프 : | 서유럽 화학공업의 국별 주요지표(1990년) | 유럽 화학공업의 1990년 주요 지표 | 화학무역의 현황(1990년) | 독일 화학공업의 생산겱쳄?구조 | 독일 화학공업 설비 투자액 | <화학저널 1992/9/1>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엔지니어링] 화학산업, 자동화로 현장 혁신하라! | 2025-10-17 | ||
[석유화학] SM, 아시아 약세에 유럽은 급락했다! | 2025-10-17 | ||
[배터리] 에코프로, 판매법인 앞세워 유럽 공략 본격화 | 2025-10-14 | ||
[기술/특허] 롯데케미칼, 스페셜티로 유럽 공략 | 2025-10-02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화학경영] 유럽 화학산업 ③, 스페셜티 중심 전환으로 글로벌 리더십 회복한다! | 2025-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