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거래소, 전자통신연구원 3661억원 1위 … 이공계 대학 미미 국내 이공계 대학의 연구·개발(R&D) 산업화 수준이 미국 대학에 비해 극히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이에 따라 기초기술 개발 중심으로 짜인 기존 이공계 대학의 R&D를 산업화에 중점을 둔 방향으로 틀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기술거래소에 따르면, 국내 148개 대학이 지금까지 산업체 등에 기술을 이전해 벌어들인 기술료 수입은 모두 173억원으로 미국 하버드대가 2003년 거둔 수입 1780만달러(약 190억원으로 기술료 수입순위 13위)보다 적은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이공계 대학들은 보유한 기술 1만3644건 중 12.1%인 1121건만을 관련기업 등에 이전하는데 그쳐 미국 28%, 영국 29%에 비해 턱없이 낮았다. 기술료 수입을 대학별로 보면,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80억6200만원으로 1위에 올랐으며 2위 포항공대(15억5900만원), 3위 한양대(9억8800만원), 4위 서울대(8억1000만원), 5위 경희대(7억3000만원) 순이었다. 국내 1위 KAIST의 기술료 수입 80억6200만원은 미국 컬럼비아대가 2003년 기술료로 벌어들인 1억4100만달러(약 1500억원)의 5.5%에 불과하며, 27위인 유타주립대의 수입 801만달러(약 80억5000만원)에 겨우 맞먹는 수치이다. 기술거래소 관계자는 “미국의 경제력과 연구개발력 등을 감안한다 하더라도 한국의 이공계 대학 R&D가 산업화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어서 대학의 R&D 방향이 실용화ㆍ상업화에 초점이 맞춰지도록 대전환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기술거래소는 조사에 포함된 4년제 이공계 사립대 115개 중 61%인 79개가 기술을 이전한 실적이 없었고 국공립대 33개 가운데 45%인 15개도 기술이전 경험이 전무했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 출연연구소 가운데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기술료로 3661억원을 벌어들여 가장 많았으며 한국과학기술연구원(174억5300만원), 한국전기연구원(142억8300만원), 전자부품연구원(141억6000만원), 한국화학연구원(128억6600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화학저널 2005/07/12>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제약] 화학연구원, 코로나 진단기술 개발 | 2020-02-27 | ||
[기술/특허] 화학연구원, 이미혜 여성원장 선임 | 2019-11-11 | ||
[전자소재] LG화학연구원, ETRI와 업무 협약 | 2015-04-09 | ||
[안전/사고] 화학연구원, 화학안전 포럼 개최 | 2015-03-30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기술/특허] 화학연구원, 바이오화학으로 선회 | 2016-12-29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