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본, 환경호르몬 대책 논의
환경부ㆍ일본 환경성 주최로 부산서 개최 … 공동협력방안 모색 환경부와 일본 환경성은 1월19일 부산에서 <제5차 한ㆍ일 내분비계 장애물질 정부간 회의>를 개최해 내분비계 장애물질(환경호르몬) 문제에 대한 공동 협력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회의에는 양국 환경부 관계자를 비롯해 국립환경과학원과 일본 국립환경연구소의 전문가 20여명이 참여할 예정이다. 회의는 2001년 4월 체결된 <한ㆍ일 환경부간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공동연구 및 협력에 관한 이행약정>에 따라 열리며, <2006년 한ㆍ일 공동 연구사업 계획> 확정, 내분비계 장애물질, 특히 POPs에 대한 양국간 정보교류와 협력방안 등이 주요 의제이다. POPs(Persistent Organic Pollutants)는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을 말하며, 다이옥신, PCB, DDT 등과 같이 환경중 잔류성, 장거리 이동성, 생물 축적성이 큰 물질이 속한다. 2006년 공동 연구 사업으로 양국간 POPs 분석법 표준화 연구, 육상 및 해양 생물에 대한 내분비계장애물질 영향 평가 등 총 6개 과제가 논의될 예정이며, 양국 합의를 거쳐 최종 과제를 확정하게 된다. 양국 환경부는 2003년부터 송사리를 이용한 내분비계장애물질 검색기법 개발, 생태영향 조사기법 개발 등 총 7개 과제를 선정하여 공동연구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 아울러, 공동 심포지움(국립환경과학원 주관)을 동시에 개최해 2005년 추진됐던 6개 연구과제의 성과를 발표할 계획이며 양국 공동 연구자를 비롯한 20여명의 전문가가 참여할 예정이다. <화학저널 2006/01/19>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반도체소재] 반도체, 한국-일본 신소재 협력 | 2025-05-14 | ||
[아로마틱] BPA, 환경호르몬 오명 벗을까? | 2018-06-21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반도체소재] 한국-일본 무역분쟁 1년, 화학소재 차별화·고도화 일본과의 결별이 쉽지 않다! | 2020-09-04 | ||
[배터리] 배터리, 한국-일본 전략 “상반” | 2019-02-21 | ||
[폴리머] 일본 PP 시장, 한국-일본 경쟁체제 “재점화” | 2018-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