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 수출 효자역할 “톡톡”
|
7월 26.2% 증가 21억3000만달러 … 총 수출은 261억3000만달러 7월 석유화학제품의 수출이 호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산업자원부가 발표한 <2006년 7월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7월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12.4% 증가한 261억3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수출은 고유가 및 수요 호조 등에 따라 수출가격이 상승하면서 석유제품 수출이 64.1%, 석유화학이 26.2%, LCD 패널이 46.5% 증가하는 등 호조를 지속했다. 반면, 자동차 수출은 30.6%, 자동차부품은 8.1% 감소했는데 노사문제에 따른 생산차질이 주요 원인이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반도체 수출은 29억5000만달러로 공급부족 현상이 지속됨에 따라 D램 가격이 안정됐고, 가격 하락에 다른 플래시 메모리의 신규수요가 확대되면서 호조를 지속할 수 있었다. 석유화학 수출은 2006년 1/4분기 수출 증가율이 0.8%에 그쳐 부진했으나 7월 26.2% 증가한 21억3000만달러를 기록했는데 원유 및 나프타(Naphtha) 가격 상승으로 제품가격이 상승했고, 일부기업의 증설 및 내수부진에 따른 수출여력이 증가해 높은 신장률을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부품 수출은 8억4000만달러에 그쳤는데 현대자동차 파업에 따른 생산 및 수출 차질이 주요 원인이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섬유류 수출은 3.2% 감소해 12억달러에 그쳤는데 저임금에 기반을 둔 중국과 베트남 등 동남아에 비해 불리한 경쟁여건과, 중국 및 동남아, 남미 등으로의 생산설비가 이전됨에 따라 국내 수출기반이 축소돼 부진이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ASEAN 수출이 21.6% 대폭 증가하고 일본 수출은 상반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반면. 중국이 5.0%, 미국이 2.9% 증가했고 유럽은 4.0% 감소했다. ASEAN 수출은 석유제품이 45.9%, 석유화학제품이 24.7%, 반도체가 21.1% 등 부품ㆍ소재 수출이 대폭 증가했으나 철강, 무선통선기기 수출은 가소했다. 미국 수출은 석유제품이 363.4%, 자동차부품이 24.1%의 높은 증가세를 시현한 반면 반도체는 9.1% 감소하는 등 부진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수출은 5.2% 증가했는데 석유제품이 124.6%, 석유화학제품이 15.9% 증가하는 등 일부 원자재품목은 호조를 보였으나 반도체는 9.6% 감소했다. 유럽 수출은 4.0% 감소했는데 반도체가 6.3%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자동차가 39.8%, 휴대폰이 16.3% 감소했다. <김지은 기자> 표, 그래프: | 국내 화학 관련산업의 수출현황 | <화학저널 2006/08/01>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화학경영] LG화학, 석유화학 흑자전환 성공했다! | 2025-10-31 | ||
| [산업정책] 석유화학, 고부가화 R&D 로드맵 추진 | 2025-10-31 | ||
| [산업정책] 중국, 석유화학 구조개혁 드라이브 건다! | 2025-10-31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폴리머] 에폭시수지 ①, 범용 중심 수출전략 한계 뚜렷 국도·금호, 스페셜티 전환한다! | 2025-10-31 | ||
| [석유화학] 일본 석유화학 재편, 비핵심 사업 매각 본격화 NCC 통합하고 특화한다! | 2025-10-3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