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화학, 한-미 FTA로 고부가화
|
산자부, 한-미 FTA 대응전략 토론 … 환경규제 대응에 인력양성도 정밀화학기업들이 한국-미국 FTA를 통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하는 방안 마련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산업자원부와 울산정밀화학지원센터는 8월25일 정밀화학산업의 메카인 울산에서 한국-미국 FTA를 계기로 정밀화학 선진화전략을 모색하는 <한-미 FTA를 통한 정밀화학 산업구조 선진화 전략회의>를 개최한다. 회의에서는 지역 전략산업인 정밀화학이 한-미 FTA 이후 예상되는 원료 수입선 다변화에 따른 대응전략 및 구조고도화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주제발표와 토론회가 이어질 예정이다.
정밀화학산업은 범용성 제품을 수출하고, 국내 생산이 어려운 고부가가치 제품을 수입하는 무역구조로서 기술 집약적이고 소량 다품종 특성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미국(2.48%)보다 한국(5.96%)의 평균 관세율이 높은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미국의 품목별 기술격차가 크며, 일부 미국의 10% 이상 고관세 등 경쟁력이 취약한 품목이 있어 양국간 정밀화학산업은 경쟁관계보다는 분업 및 보완관계로서 관세철폐에 따른 수출입 영향이 매우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국내 IT, 전자ㆍ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등 전방산업이 세계적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어 한-미 FTA 추진에 따른 해당 산업의 수출확대와 함께 산업에 필요한 핵심 소재를 공급하는 정밀화학산업의 내수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한국을 미국의 아시아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 마련과 일본의 대미시장 진출기지 등이 예상되므로 국내기업들이 대응할 수 있는 선진화 전략을 마련해 외국인투자, 글로벌기업 유치, 선진기술 습득, 글로벌 마케팅 능력 활용 및 수출 확대 등 기회 활용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토론에서는 한-미 FTA에 대응해 국내기업과 정부가 함께 정밀화학산업 선진화를 위해 적극적 노력을 펼쳐야 한다는 점과 고부가가치 산업구조로의 전환, 외국인 투자유치 전개, 환경규제의 효과적 대응 및 인력 양성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표, 그래프: | 정밀화학산업 수출입 현황(2005) | <화학저널 2006/08/24>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정밀화학] 롯데정밀화학, ECH 강세가 “생존비결” | 2025-10-16 | ||
| [정밀화학] 롯데정밀화학, ECH 강세로 수익↑ | 2025-09-18 | ||
| [화학경영] 롯데정밀화학, 반밖에 못 벌었다! | 2025-07-30 | ||
| [무기화학/CA] 롯데정밀화학, 요소수 공세 강화 | 2025-06-11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정밀화학] 정밀화학의 방향성, 글로벌 고기능화 트렌드… 일본 뒤쫓다 중국에 먹힌다! | 2025-08-0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