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결정 태양전지용 잉곳기술 개발
|
세계 3번째 3결정 잉곳씨앗ㆍ성장기술 개발 … 고순도 실리콘 공급 순수 국내기술로 세계에서 3번째로 3결정 규소 태양전지의 기본 소재인 3결정 잉곳의 씨앗과 성장기술이 개발됐다.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렉서 및 충남대학교와 함께 산ㆍ학ㆍ연 공동사업을 통해 3결정 잉곳 씨앗 개발에 성공하고, 잉곳 씨앗을 사용해 6인치 굵기의 3결정 잉곳으로 성장시키는데 성공했다고 10월11일 발표했다. 현재 잉곳 씨앗 기술은 러시아와 독일만 성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태양전지 소재인 고순도 규소는 잉곳 씨앗을 사용해 단결정 규소 잉곳으로 기르거나 주형을 이용해 다결정 규소 블록(Block)을 주조하고, 길러진 잉곳이나 블록을 200-350㎛ 두께의 얇은 박판으로 만들어(슬라이싱) 태양전지를 제조하게 된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태양전지 수요가 급팽창하면서 태양전지용 고순도 규소의 부족으로 촉발된 태양전지 가격의 폭등은 태양광발전의 보급 확산과 산업의 성장을 결정적으로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기술 개발의 측면에서는 초박형 태양전지와 박막형 태양전지 및 화합물 반도체를 소재로 사용하는 태양전지 등의 개발을 촉진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개발된 3결정 씨앗 및 잉곳 성장 기술은 두께 200㎛ 이하의 초박형 태양전지 제작을 가능케 하는 원천 기술로 3결정 태양전지는 고효율이라는 단결정 태양전지의 장점과 구조적으로 강해 매우 얇고 저렴한 다결정 태양전지의 장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또 3결정 태양전지는 3결정체로서 아름다운 외관과 높은 효율로 건물과 발전산업용 등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다. 한국은 그동안 태양광발전 산업의 후발 주자로서 세계 태양광발전 산업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MW급 태양광발전시스템 실용화 기술개발 사업을 산업자원부 전력기반기금을 이용해 국가전략기획과제의 하나로 추진해 왔다. 기술개발 총괄수행 책임자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의 유권종 박사는 “개발된 3결정 태양전지용 잉곳 씨앗 및 잉곳을 이용해 3결정 태양전지를 제조하면 약 90% 이상의 획기적인 수율 향상과 17.6% 이상의 고효율, 원가를 25% 절감할 수 있는 저가격의 3결정 태양전지를 개발할 수 있어 국제시장에서도 경쟁력이 있다”며 “2010년 세계 시장규모가 약 300억달러로 예상되는 태양광산업은 21세기 성장동력산업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지은 기자> <화학저널 2006/10/17>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EP/컴파운딩] 변성PPE, 태양전지용 집중공략 | 2019-11-13 | ||
| [화학경영] 유기태양전지용 유기반도체 개발 | 2016-02-01 | ||
| [폴리머] 한화토탈, 태양전지용 EVA “선점” | 2015-12-30 | ||
| [신재생에너지] PET필름, 태양전지용 차별화 강화 | 2015-06-18 | ||
| [신재생에너지] PI필름, 태양전지용 적용 확대 | 2015-03-2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