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 수출액 200억달러 육박
				
				
			| 산자부, 10월20일까지 189억달러 상회 … 석유제품도 168억달러 넘어석유화학제품의 10월 수출이 21.1% 증가한 것으로 추정되는 등 호조를 보였다. 산업자원부가 발표한 <2006년 10월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10월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11.5% 증가한 282억8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조업일수가 반영된 일평균 수출액은 13억8000만달러로 9월에 이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석유화학은 9월 수출이 19.3% 증가한 데 이어 10월에도 20.1% 증가한 20억달러를 기록했는데 내수 부진에 따른 수출 여력이 증대한 것으로 평가된다. LCD 패널은 9월 76.8%에 이어 10월에는 37.1%로 수출 증가가 다소 주춤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해 수요 회복에 다른 패널가격 안정화가 지속되고 있음을 반영했다. 반도체는 10월 25.6% 증가한 33억달러에 달해 계절적 성수기 전환 및 D램 가격 강세 지속으로 수출이 확대된 것으로 분석된다. 섬유류와 컴퓨터 수출은 가격경쟁력 악화로 감소세를 나타냈는데 섬유류는 2.7% 감소한 11억4000만달러 수출에 그쳤다. 저임금에 기반을 둔 중국과 베트남 등 동남아 국가에 비해 불리한 경쟁여건을 가지고 있고, 생산설비 이전에 따라 국내 수출기반이 축소됐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ASEAN(30.5%)과 EU(17.3%) 시장으로의 수출 호조가 두드러지는 가운데 통관일수 부족에도 불구하고 미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도 수출 증가세를 유지했다. EU 수출(17.3%)은 철강제품(997.2%), 자동차(20.5%), 반도체(71.8%), 선박(15.6%) 등이 높은 수출 증가를 기록했으며, 중국 수출은 무선통신기기(30.7%), 반도체(36.4%), 석유화학제품(29.7%) 등이 수출 호조를 기록했다. 일본 수출(10.4%)은 석유제품(47.4%), 철강(21.6%) 등 원자재와 반도체(17.4%) 등 일부 자본재 품목은 호조세인 반면 컴퓨터(▽32.2%), 섬유제품(▽40.1%) 등은 가격경쟁력 악화 등으로 부진을 지속했다. 미국 수출(▽9.2%)은 반도체(62.8%), 가전(11.3%) 등의 호조에도 불구하고 자동차(▽4.5%), 무선통신기기(▽41.%1) 등의 부진으로 감소를 기록했으나 최대 품목인 승용차 수출이 호조를 보여 10월 전체로는 증가율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지은 기자> 표, 그래프: | 화학 관련제품 수출현황 | <화학저널 2006/11/01>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화학경영] LG화학, 석유화학 흑자전환 성공했다! | 2025-10-31 | ||
| [산업정책] 석유화학, 고부가화 R&D 로드맵 추진 | 2025-10-31 | ||
| [산업정책] 중국, 석유화학 구조개혁 드라이브 건다! | 2025-10-31 | ||
| [무기화학/CA] 염산, 석유화학 재편으로 공급 불안하다! | 2025-10-28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석유화학] 일본 석유화학 재편, 비핵심 사업 매각 본격화 NCC 통합하고 특화한다! | 2025-10-3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