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 50달러이하 폭락 가능성
|
PetroLogistics, OPEC 감산 30만배럴 불과 … 미국의 경기둔화도 작용 석유수출국기구(OPEC)가 11월1일부터 하루 120만배럴을 감산키로 합의했으나 실질적으로는 30만배럴 밖에 줄어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유조선 시장 전문분석기관인 PetroLogistics에 따르면, 이라크를 제외한 OPEC 10개 회원국은 11월 들어 하루 2720만배럴 가량을 생산해 감산 결정이 내려지기 전인 9월 평균치 2750만배럴에서 소폭 줄어드는데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PetroLogistics은 OPEC가 10월20일 합의한 생산량인 하루 2630만배럴에 도달하려면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 같다고 내다봤다. 이와 관련해 OPEC가 합의한 감산분을 제대로 이행하는 것이 가능하겠느냐는 회의론이 높아지고 있다. 최대 산유국인 사우디는 당초 38만배럴을 감산키로 했으나 현재 35만배럴 가량을 줄인 상태이며, 쿠웨이트와 아랍에미리트연합은 각각 10만배럴 가량 실질 생산량이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나이지리아는 11월 들어 하루 최소한 20만배럴 줄었으나 내전에 따른 후유증 성격이 더 크다. 감산에 적극적인 베네주엘라는 하루 10만배럴 줄여 현재 240만배럴 가량을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석유 관계자들은 유가가 WTI(서부텍사스 중질유) 선물 기준으로 배럴당 59달러를 밑도는 상대적 약세가 이어지고 있다면서 미국의 경기둔화와 부족하지 않은 난방유 비축, 그리고 천연가스 재고가 5년 사이 처음으로 평균치를 넘어선 것 등이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따라서 국제유가가 배럴당 50달러 이하로 떨어질 가능성이 농후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나이지리아와 이라크의 정정불안이 이어지고 있고 미국의 정유 공급도 최근 떨어졌음을 상시키면서 유가가 마냥 약세만 이어가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화학저널 2006/11/17>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화학경영] SK이노, 국제유가·정제마진 회복에 흑자전환 | 2025-10-31 | ||
| [국제유가] 국제유가, 무역긴장 완화되며 소폭 상승 | 2025-10-31 | ||
| [석유화학] 옥소, 국제유가 강세에도 역행 하락한다! | 2025-10-31 | ||
| [에너지정책] 국제유가, 무역협상 진전 기대로 “상승” | 2025-10-30 | ||
| [석유화학] SM, 국제유가 강세에 800달러 회복했다! | 2025-10-3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