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제조업 임금상승률 최고수준
				
				
			| 2000년 이후 상승률 61.1%로 미국의 3배 … 물가상승률은 비슷2000년 이후 우리나라와 미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큰 차이가 없지만 제조업 임금 상승속도는 우리나라가 미국의 3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및 노동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등에 따르면, 우리나라 제조업의 임금지수는 2000년을 100으로 했을 때 2006년 6월말 현재 161.1로 5년6개월 동안 61.1% 상승했다. 국내 제조업 임금지수는 2000년 100에서 2001년 106.4, 2002년 119.1, 2003년 129.5, 2004년 142.5, 2005년 153.5 등 빠른 속도로 올라가고 있다. 국내 제조업 임금상승률은 조사대상인 OECD 12개 회원국 중 2번째로 높은 것으로 헝가리가 2000년 100을 기준으로 했을 때 6월 현재 180.1로 가장 높았다. 한국 다음으로는 체코(145.1), 폴란드(129.0), 영국(125.1), 스웨덴(120.5), 이태리(117.5), 미국(117.2), 네덜란드(115.2), 캐나다(111.9) 등이 뒤를 이었다. 우리나라 제조업의 임금 상승속도는 스웨덴, 이태리, 미국, 네덜란드, 캐나다 등의 3배 이상이다. 2005년 말 기준으로는 헝가리(166.0), 한국(153.5), 체코(135.3), 폴란드(!21.5), 영국(120.1), 스웨덴(115.9), 미국(115.7), 이태리(113.5), 네덜란드(113.3), 캐나다(112.7), 타이완(106.8), 일본(103.8) 순이었다. 반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우리나라가 5년6개월 동안 20.3% 올랐지만 미국 17.8%, 이태리 15.2%, 캐나다 14.9%, 네덜란드 14.3% 등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 LG경제연구원 윤상하 연구원은 “기본적으로 국가마다 경제력의 차이가 있어 임금 상승률 속도도 벌어질 수 있지만 소비자물가 상승률 격차에 비해 상대적으로 임금 상승률 격차가 훨씬 더 벌어졌다는 것은 그만큼 우리나라 제조업의 임금이 많이 올랐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연합뉴스 - 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06/11/20>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전자소재] 호도가야, OLED 자회사 한국증시 상장 | 2025-10-29 | ||
| [정밀화학] 광촉매, 한국·일본·타이완 연계 글로벌 공략 | 2025-10-28 | ||
| [반도체소재] 후지필름, 한국에서 후공정 소재 사업 주력 | 2025-10-23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배터리] 배터리, 한국·중국 재활용 경쟁 본격화… | 2025-10-31 | ||
| [플래스틱] 플래스틱 수출, 중국 중심 예측된 “지각변동” 한국, 직격탄 맞고 휘청거린다! | 2025-10-1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