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치, 멀미ㆍ피임에서 항암으로…
|
특허청, 특허출원 독일ㆍ일본ㆍ미국 호조 … 고혈압ㆍ인슐린 패치도 바쁜 현대인들에게 안성맞춤인 패치제 출시가 증가하고 있다.패치제는 1987년 멀미약 패치를 시작으로 상용화되기 시작해 피임을 위한 여성호르몬 패치나 금연 보조제인 니코틴 패치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스스로 약물 복용시간을 지키기 어려운 치매나 알쯔하이머 환자를 위한 패치 제형도 개발되는 등 다양한 질환의 치료제가 패치제로 시장에 선보이거나 개발되고 있다. 특허청에 의하면, 10년간(1996-2005년) 패치제의 특허 출원은 소염진통제 중 습포제 형태를 제외하면 263건으로 외국인 출원이 내국인 출원에 비해 2배가량 더 많았다. 출원건수는 2001년 41건까지 증가했으나 2002년에는 절반 수준인 24건으로 감소한 후 다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내국인 출원은 35%에 불과하고 다음으로 다국적 제약기업을 중심으로 독일(27%), 일본(16%), 미국(16%) 순으로 4개국이 전체 출원의 92%를 차지했다. 패치제 특허 출원은 기술 특성상 기반기술에 해당하는 출원이 34% 정도이고 나머지 66%는 약물에 따른 특정질환 치료제에 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출원건수는 피임 및 폐경이후 호르몬 요법을 위한 호르몬제(13%)와 소염 진통제(10%) 및 진통제(9%)에 관한 출원이 가장 많았고, 그밖에 천식, 심 순환계, 알쯔하이머병, 금연보조제, 요실금, 국소마취, 멀미 및 제토제등의 다양한 약물들이 패치 제형으로 출원되고 있다. 한편, 세계 패치제 시장규모는 2005년 약 127억달러 정도에서 10년 후인 2015년에는 315억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신약 개발에 수천억원의 막대한 비용과 10년 이상의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반면, 패치제는 안전성과 유효성이 입증된 기존 약물을 사용해 상대적으로 적은 개발비용과 시간을 투자해 고부가가치제품을 개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표, 그래프: | 패치제의 연도별 출원동향 | 패치제의 질환별 출원동향 | <화학저널 2006/12/19>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제약] 코로나19, 이산화염소 패치로… | 2020-03-27 | ||
| [제약] SK케미칼, 치매 치료는 패치로… | 2019-11-28 | ||
| [제약] 일산화탄소, 수화젤 패치 재탄생 | 2018-10-16 | ||
| [제약] 라파스-보령, 백신패치 공동개발 | 2016-01-12 | ||
| [제약] 북한, PPㆍPE 기능성 패치제 개발 | 2005-04-1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