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천단지 방류수 다이옥신 “범벅”
				
				
			| 
						 환경과학원, 일본 기준치의 3배 초과 … 시화안산ㆍ인천은 대기오염 여천산업단지의 방류수에 잔류하고 있는 내분비계 장애물질인 다이옥신(Dioxin) 농도가 일본 배출허용 기준치를 최고 3배 이상으로 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전국 주요 산업단지 등 83개 지점을 대상으로 지난 1년 8개월간 수질과 대기, 토양 중 다이옥신 잔류농도를 조사한 결과 여천공단의 수질 잔류농도는 리터당 31pg로 일본 환경기준 10pg보다 훨씬 높았다. 다이옥신은 피부질환과 면역력 감소, 기형아 출산, 암 유발 등 유해연구 결과가 나와 있다. 여천공단 수질 다이옥신 잔류농도는 시화ㆍ안산공단 0.2-8.3pg, 구미단지 0.3-0.7pg, 포항단지 0.5-1.4pg 등 다른 공단에 비해 최고 200배 가까이 높다. 특히, 방류수의 다이옥신은 추가 정수과정을 거치지 못한 채 바다에 그대로 유입되고 있다. 토양 중 다이옥신 농도는 여천공단이 g당 63-80pg로 일본 기준치 1000pg보다는 낮았지만 울산공단 1.3pg, 구미산단 0.1pg 등에 비해 높게 검출돼 공단별로도 수백배 이상 큰 차이를 보였다. 대기 중 다이옥신 농도(일본 기준 0.6pg/㎥)는 시화공단이 0.539pg/㎥으로 가장 높고 안산지역이 0.456pg/㎥, 인천공단 0.234pg/㎥ 등으로 비교적 높았으며 청정지역으로 꼽히는 제주 고산리 0.004pg/㎥에 비하면 잔류농도가 최고 135배에 육박했다. 시화공단의 대기 잔류농도는 여수나 광양, 울산, 포항, 구미 등 여타 공단과 비교해도 최고 50배 이상 높았다.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하나인 DEHP는 토양 잔류농도가 여천산단이 1975㎍/㎏, 시화안산 528㎍/㎏, 포항산단 565㎍/㎏, 구미산단 288㎍/㎏, 울산산단 241㎍/㎏ 등으로 검출 한계기준을 넘어섰다. 토양 중 페놀(Phenol)류 검출농도는 시화안산 공단지역이 8.8㎍/㎏으로 가장 높고 다른 산단은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나 공단지역이 아닌 경북 왜관 하천부지가 9.5㎍/㎏, 나주대교 인근 농경지가 8.4㎍/㎏ 등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연합뉴스 - 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07/01/03>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폴리머] 여천NCC 사고로 여천단지 “들썩” | 2008-05-15 | ||
| [화학무역] 여천단지 합성수지 수출차질 우려! | 2005-07-01 | ||
| [환경] “여천단지 사고위험 울산보다 크다” | 2003-11-19 | ||
| [환경화학] 하수처리장 방류수 이산화염소 처리 | 2002-08-02 | ||
| [환경] 수질기준 초과 방류수 팔당호 유입 | 2002-08-0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