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화학산업 육성책 "헛돈다"
정밀화학산업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경쟁력 강화방안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정밀화학은 고부가가치 산업일 뿐 아니라 비교적 시설투자가 적게 들면서 제품의 다양화를 기할 수 있어 중소기업으로도 전문화가 가능하고 집중육성시 국제경쟁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96년 국내 정밀화학 시장규모는 219억달러로 95년대비 4.2% 성장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세계 정밀화학 시장규모는 5473억달러로 우리나라의 차지비중이 4.0%에 불과, 걸음마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다. 국내 정밀화학산업은 국민소득수준의 향상, 관련 수요산업의 성장과 기술혁신에 따른 신규수요의 확대에 힘입어 연평균 9.2%정도의 높은 성장이 기대돼 2000년 23조원, 2005년에는 34조9000억원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표, 그래프 : | 국내 정밀화학 수급현황 및 전망 | <화학저널 1997/5/26>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산업정책] 울산, 정밀화학산업 육성 본격화 | 2007-10-22 | ||
[산업정책] 정밀화학산업 육성책 “내용 없다” | 2003-05-1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제약] 중국·인디아 정밀화학산업의 부상 | 2004-12-20 | ||
[산업정책] 정밀화학산업 후진구조 “여전” | 2002-07-15 | ||
[산업정책] 정밀화학산업 국제경쟁력 “낙후” | 2002-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