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연구원, TIMP-1 단백질 당질화 변화 추적 … 첨단 정밀제품 기대 생명연구원-프레드허친슨 공동연구 협력센터 고정헌 박사팀(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 특정 당단백질(TIMP-1)의 당질 변화가 암의 악성화를 촉진한다는 사실을 규명하고 고감도 암 판별 도구를 개발하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연구팀은 정상인과 암 환자 사이의 단백질 비교에서 혈액 대부분의 단백질이 오차 범위 내에서 양 차이를 보인다는 점과 혈액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당단백질이 암의 발생과 전이과정에서 질적 변화를 보인다는 점에 착안해 당쇄구조 차이를 보이는 단백질군을 선별하고 암의 악성화 관련연구를 진행해 왔다. TIMP-1(Tissue Inhibitor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단백질은 MMP(Matrix Metalloproteinase)의 생체 내 저해제로서 정상인은 TIMP-1이 MMP를 잘 저해하나, 암이 진행되면서 TIMP-1의 당쇄구조가 거대해지는 질적 변화를 거치면서 MMP에 대한 저해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활성화된 MMP가 암세포의 전이과정에서 장벽역할을 하는 세포외 메트릭스를 쉽게 파괴함으로써 암이 빠르게 전개된다는 사실이 연구팀의 생화학 및 동물 실험을 통해 확인되고 환자조직에서 검증된 것이다. 연구는 많은 연구에서 제기된 바 있는 TIMP-1 단백질의 발현증가(양적 증가)가 암의 전개를 촉진하거나 저해한다는 상반된 논쟁에서, 당단백질의 질적 변화가 중요하다는 논리적 실마리를 제시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생명연구원 고정헌 박사는 “지금까지 많은 바이오마커 연구가 혈액 내 단백질의 양의 차이만을 연구했다면, 당질화의 변화까지 동시에 추적해 민감한 종양 바이오마커를 개발할 수 있게 한 사례”라고 하면서 “당단백질의 단백질 및 당질 변화 검출 기술을 활용해 현재의 바이오마커 패러다임을 변화시킬 수 있는 첨단 정밀제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연구 결과는 프로테오믹스 분야 최고 전문 학술지인 Molecular & Cellular Proteomics(Impact Factor: 9.8)에 인터넷판으로 최근 공개됐으며, 정식 발간물로서는 12월 중에 게재될 예정이다. <김 은 기자> <화학저널 2007/11/27>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제약] 인공단백질, 의료기기 소재로 주목 | 2024-12-10 | ||
[바이오연료] 수소세균, 화학원료·단백질 합성 | 2024-03-25 | ||
[식품소재] 롯데정밀화학, 단백질 고기 “꿈” | 2020-07-23 | ||
[계면활성제] 접착제, 홍합 단백질로 수중 활용 | 2015-09-17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헬스케어] 생체접착제 ②, 홍합단백질 개발이 좌우한다! | 2016-03-04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