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신호전달 단백질 감지기술 개발
생명연구원, 탈인산화효소 단백질 대량 생산 … 질병상태 감지ㆍ진단 세포 신호전달을 위한 단백질을 대량으로 생산하고 감지할 수 있는 항체를 개발해 앞으로 인간 질병의 상태를 조기에 감지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리게 됐다.과학기술부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 중 하나인 프로테오믹스 이용기술 개발사업 및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고유사업 지원을 받은 생명연구원 단백체시스템연구단 류성언, 정대균 연구팀은 12월18일 <인간 탈인산화 효소군 단백질 항원-항체 및 응용기술>을 개발해 항체 진단개발 전문벤처기업인 에이비프런티어(대표 이종서)에 기술을 이전했다고 발표했다. 세포가 외부의 자극에 반응하고 성장, 분화, 사멸하는 과정에는 세포의 신호전달 과정이 필수적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신호전달을 매개하는 단백질이 신호전달 단백질로 대부분의 인간 질병은 세포신호전달 이상과 관련이 있다. 또 세포신호전달에는 인산화 신호전달이 대표적이며 인체에는 약 500여개의 인산화 효소와 100여개의 탈인산화 효소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인산화 세포 신호전달을 위한 대표적 단백질인 탈인산화효소 단백질 80여종의 대량생산 기술을 개발하고 26종에 대해서는 감지할 수 있는 항체를 개발하였는데 인체에 존재하는 전체 107종의 탈인산화 효소의 대부분에 해당하는 것이다. 생명연구원 단백체시스템연구단장 류성언 박사는 “개발된 기술을 바탕으로 암, 뇌졸중 등의 난치병 및 대부분의 인간 질병에 대한 상태를 감지해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예후를 검사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 및 진단치료제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고 밝혔다. 기술 이전되는 항원ㆍ항체 생산 및 응용기술은 국내외 특허가 출원된 상태이며, 선급실시료 1억원 및 총매출액의 5%의 경상실시료 등 총액 6억원이 기술료로 지급되는 조건이다. 한편, 기술실시계약을 체결할 에이비프런티어(대표 이종서)는 생명공학 벤처기업으로 인간질병 관련 항체 및 진단ㆍ치료제 개발 전문기업으로 국내외 라이센싱 및 제품 판매망을 구축하고 있다. <김 은 기자> <화학저널 2007/12/18>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제약] 인공단백질, 의료기기 소재로 주목 | 2024-12-10 | ||
[바이오연료] 수소세균, 화학원료·단백질 합성 | 2024-03-25 | ||
[식품소재] 롯데정밀화학, 단백질 고기 “꿈” | 2020-07-23 | ||
[계면활성제] 접착제, 홍합 단백질로 수중 활용 | 2015-09-17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헬스케어] 생체접착제 ②, 홍합단백질 개발이 좌우한다! | 2016-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