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직포, 기능소재 확대로 수출입 증가
일본, 2002년 이후 증가 꾸준 … 2006년 6개 지역 수출액 48억달러 부직포 무역이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다.일본 화학섬유협회에 따르면, EU 15개국과 미국, 일본, 중국, 한국, 타이완 등 6개 지역의 부직포 원반수출이 2002년 이후 증가하고 있으며 아울러 수입도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직포는 가벼운 반면 부피가 커 무역거래에 부적합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경영의 글로벌화와 특정거점에서 생산되는 기능성 소재 확충, 2차제품 생산기업의 해외생산 확대로 수출입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2006년 6개 지역의 부직포 수출액은 총 48억4000만달러로 2000년보다 86.2% 증가했다. EU 15개국이 94.8% 증가한 46억9000만달러, 미국이 94.5% 증가한 15억1000만달러, 일본이 38.1% 증가한 5억4000만달러, 중국이 371.3% 증가한 4억4000만달러, 한국이 48.6% 증가한 4억4000만달러, 타이완이 25.2% 증가한 2억2000만달러를 나타냈다. 중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수출이 초과했으며, 초과율은 EU 15개국과 미국, 일본이 30-40%, 내수가 적어 수출의존도가 높은 한국과 타이완은 40-50% 수준에서 움직이고 있다. 수입초과 현상을 보이는 중국은 국내생산 확대에 따라 초과율이 2000년 43.8%에서 2006년에는 14.8%, 2007년에는 8.3%까지 축소돼 조만간 수출국으로 전환될 전망이다. <화학저널 2008/05/14>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자동차소재] 부직포, 자동차 경량화 올라탄다! | 2024-08-22 | ||
[나노소재] 부직포, 나노섬유로 첨단시장 공략 | 2024-07-04 | ||
[합성섬유] 부직포, LiB용 분리막 적용 추진 | 2024-04-25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합성섬유] 부직포, 코로나 사라지며 시장 급변 | 2025-05-30 | ||
[제약] 제약산업, 셀룰로스부터 PVA·부직포 세포배양 캐리어 소재로 육성… | 2025-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