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2008년 도료 생산 사상최대
10% 증가 650만톤으로 세계1위 탈환 … 수성도료 개발 환경규제 대응 중국의 2008년 도료 생산이 전년대비 10% 증가한 650만톤으로 사상 최고치를 갱신할 전망이다.신규건설이 봇물을 이루며 건축용 도료수요가 급증하고 있고, 더불어 세계의 공장으로 위상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산업용 도료 수요도 끊이지 않고 있으며, 그리고 자동차용 도료가 자동차 생산 급증에 따라 호조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세계 최대의 도료 생산국인 미국의 자리를 넘보고 있다. 중국도료공업협회에 따르면, 중국의 도료 생산량은 2006년 500만톤을 돌파하며 508만톤을 기록했고 2007년에는 전년대비 18% 증가한 598만톤으로 600만톤에 육박했다. 2008년에는 10% 증가한 650만톤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현재 세계 최대의 도료생산국은 미국으로 2006년 미국의 도료 생산량은 802만톤에 달했다. 앞으로 중국의 도료 생산이 연평균 10% 정도 계속 성하면 2-3년 후에는 세계 1위를 탈환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일본의 도료산업 규모는 200만톤 정도로 이미 중국시장은 일본보다 약 3배 정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구대구인 중국에서는 건축용 도료가 전체의 30-40%를 차지하고 있으며 연안부를 중심으로 초고층 아파트 건설이 봇물을 이루어 내장ㆍ외장용 도료가 급증하고 있다. 사회 인프라 정비도 수요신장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공업용 도료로써 철골구조물, 교량, 탱크용 방식도료 시장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가구 목공용 도료도 신장하고 있다. 중국은 주요 가구 수출국으로 최근에는 내수 호조로 미국 수출이 주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 자동차용 도료는 전체의 10% 정도로 생산량은 적지만 중국의 자동차 생산이 100만대 수준에 달하고 있어 앞으로 급격히 증가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노트북 PC, 디지털카메라, 휴대전화 등 정보통신기기와 가전제품용 플래스틱 도료는 중국이 세계최대 시장으로 단연 1위 자리를 굳히고 있다. 반면, 급격한 도료시장 확대와 함께 환경문제 대응이 시급해지고 있다.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배출억제를 위한 수성도료가 개발되고 있으며, 앞으로 용매계로 전환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질 전망이다. <화학저널 2008/07/22>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국제유가] 국제유가, 미국-중국 무역갈등에 62달러 아래로… | 2025-10-16 | ||
[에너지정책] K-배터리, 중국에 끝없이 밀려나고 있다! | 2025-10-15 | ||
[헬스케어] 헬스케어, 중국 불확실성 커진다! | 2025-10-14 | ||
[국제유가] 국제유가, 미국-중국 무역갈등 완화 “상승” | 2025-10-14 | ||
[배터리] 음극재, 중국산 의존도 98% 달한다! | 2025-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