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산업 부가가치 제조업의 3배
연평균 9% 성장에 고용창출까지 … 폐수관리가 11조원으로 37% 환경문제를 예방하고 오염된 환경을 복구하기 위해 제품을 만들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산업이 연평균 9%의 높은 성장을 보이고 있다.부가가치 창출력이 제조업의 3배에 달하고 일자리 창출 효과도 커 성장동력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은행이 1월28일 발표한 <환경보호지출계정(EPEA) 편제 결과>에 따르면, 2007년 환경보호 지출액(명목 기준)은 28조8000억원으로 전년대비 8.9% 증가했다. 2006년 증가율(10.2%)보다는 소폭 둔화했지만 2004-07년 평균 8.8%의 높은 성장세를 보이며 GDP(명목 기준) 증가율 5.0%를 크게 웃돌았다. 전체 GDP에서 환경보호 지출액이 차지하는 비중도 2004년 2.87%에서 2007년 3.2%로 높아졌다. 그중 환경보호서비스가 19조5000억원으로 3분의2를 차지했고, 환경관련 자본형성(설비)이 9조3000억원에 달했다. 영역별로는 폐수관리가 10조9000억원으로 37.7%를 점했고, 폐기물관리 6조8000억원(23.6%), 대기보호 5조4000억원(18.8%), 생태계 조성 2조8000억원(9.8%), 토양복원 및 수질개선 1조2000억원(4.0%) 순이었다. 환경산업의 부가가치도 다른 산업에 비해 컸다. 1단위 생산에서 창출되는 부가가치를 나타내는 부가가치율은 환경산업이 59.3%로 전체산업 평균(38.2%)을 크게 앞섰고 제조업(21.9%)의 거의 3배에 달했다. 취업 유발효과는 환경보호서비스 산출액 10억원당 6.9명으로 비제조업(12.9명)보다 작지만 제조업(3.4명)보다는 훨씬 많았다. 한국은행은 관계자는 “환경 산업은 자본집약적인 장치산업으로 부가가치율이 높고 고용창출 효과가 크다는 점에서 우리 경제의 신 성장동력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며 “친환경기술 연구개발 등으로 친환경제품 개발을 촉진하고 청정 생산시설 투자를 늘려 새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화학저널 2009/01/28>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정밀화학] 제지, 고부가가치 음료용기로 부상 | 2025-05-08 | ||
[정밀화학] 파인케미칼, SDGs로 부가가치화 | 2024-07-2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EP/컴파운딩] TPE, 일본, 고부가가치화 공세 강화 크레이튼, 순환경제로 대응한다! | 2025-10-02 | ||
[아로마틱] 유동파라핀 ②, 코스트 상승 압박 재점화 고부가가치화로 대응한다! | 2024-11-01 | ||
[아로마틱] 유동파라핀, PS용 지고 LiBS용 부상 고부가가치화가 절실하다! | 2023-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