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폴리실리콘 공급과잉 불가피
공급과잉도 산업발전 과정으로 인식 … 총 생산능력 16만-19만톤 중국은 폴리실리콘 공급과잉 우려에도 불구하고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NDRC(The National Development & Reform Commission)와 MIIT(The Ministry of Industry and Information Technology)는 중국에서 제기되고 있는 폴리실리콘(Polysilicon) 투자 확대에 따른 공급과잉 문제에 대해 신사업 성장에서 필요한 발전과정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도 폴리실리콘의 공급과잉을 무조건 비판하는 것은 자칫 신ㆍ재생 에너지 사업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중국은 최근 태양광산업의 중요한 원재료인 폴리실리콘 신증설이 봇물을 이루며 생산능력이 16만-19만톤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공급과잉 문제에 대해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하지만, NDRC과 MIIT 관계자들은 폴리실리콘의 공급과잉에 대해 신사업 발전을 위해 투자를 늘리는 것은 피할 수 없는 단계라고 강조하고 있다. 다만, 신사업의 긍정적 발전을 위해 폴리실리콘을 포함한 신ㆍ재생 에너지 사업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가이드라인에는 플랜트 건설지역과 자본금, 생산능력, 재활용, 에너지 효율, 환경보호, 재해예방, 안전에 관한 내용이 담겨질 것으로 알려졌다. 폴리실리콘 생산능력이 3000톤 이상이어야 하고, 폴리실리콘 1000톤당 부지는 10ha이하로 사용하며, 매연 예방을 위해 전력 소비는 70-80㎾/㎏ 이하로 낮추고, 염화수소(Hydrogen Chloride) 재활용 효율이 98.5%-99% 인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중국 NDRC과 MIIT 관계자들은 폴리실리콘 공급과잉을 인식하고 철저한 조사와 연구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복혜미 기자> <화학저널 2010/03/02>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배터리] 음극재, 중국이 글로벌 시장 평정했다! | 2025-10-21 | ||
[석유화학] LDPE, 재고·전망·중국 변수에 하락 가속화 | 2025-10-20 | ||
[국제유가] 국제유가, 미국-중국 무역갈등에 62달러 아래로… | 2025-10-16 | ||
[에너지정책] K-배터리, 중국에 끝없이 밀려나고 있다! | 2025-10-15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플래스틱] 플래스틱 수출, 중국 중심 예측된 “지각변동” 한국, 직격탄 맞고 휘청거린다! | 2025-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