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H 대응 환경컨설팅 육성해야
|
본등록 임박한 가운데 화학기업 문의 쇄도 … K-REACH 필요성 제기 REACH를 통해 서비스산업의 경쟁력이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특히, REACH(Registration, Evaluation & Authorization of Chemicals) 본등록 마감이 11월 말로 임박한 가운데 국내 화학기업들의 컨설팅 문의가 쇄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귀호 국제환경규제 기업지원센터장은 “REACH 뿐만 아니라 국제환경규제 대응에 필요한 서비스산업이 국제 비즈니스로 성장하고 있다.”며 “220만건에 달하는 REACH 사전등록 과정에서 절반만 컨설팅기관을 통해 진행하면 건당 100만원씩만 잡아도 유럽 소재 컨설팅기관의 수입이 약 1조원에 달할 것”이라고 추산했다. 또 “본등록을 위해 컨설팅 기관과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면 수입규모가 등록비용의 최소 10배 이상이 될 것”이라며 “여기에 등록에 소요되는 비용, 컨소시엄 가입비용, 화학물질 독성자료 공유비용 등 코스트가 증가할수록 전문적으로 처리해주는 서비스산업이 뜰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국내 화학기업들은 REACH 대응에 있어 소극적인 자세를 취할 것이 아니라 남들보다 앞서가는 대응자세가 요구되고 있다. 국내에서 환경컨설팅산업이 발전해 국제시장을 선점하려면 관련기업에서 투자가 필수적이며, 대기업이든 중소기업이든 환경규제에 대한 비용부담이 아닌 투자라는 인식변화가 선결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서비스는 무료라는 인식을 버리고, 사업에 걸림돌이 되는 새로운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투자는 더 큰 손실을 막기 위한 필수요소로 인식해야 한다는 것이다. KTR 관계자는 “선진국에 비해 화학물질 분석 인프라가 부족하고 시장도 아직 형성되지 못하고 있어 화학물질 분석 시장의 체계적 육성도 필요하다”며 “신규산업을 점령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REACH 대응 역시 필수적이라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화학기업들은 구체적으로 물질정보를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한 곳이 모든 정보를 확보하는 것보다 같은 물질 제조기업 끼리 연합하거나 컨소시엄을 가입함으로써 자료 사용권을 얻되, 국가별로 별도로 얻어야 하는 자료사용권의 특성을 고려해 장기적으로는 공동소유권을 확보가 시급한 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남앤드남인터내셔널 관계자는 “국내시장의 기반이 될 K-REACH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고, 국내 시장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화학물질분석 기관들이 일본·중국 등지에서 사업을 수주할 수 있는 트레이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유현석 기자> <화학저널 2010/11/19>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안전/사고] TMAH, 누출 사고 현장대응 지침 확립 | 2025-11-06 | ||
| [반도체소재] 반도체, 한국 접착제 제거제 수요 대응 | 2025-11-06 | ||
| [리사이클] 폐플래스틱, 글로벌 환경규제 대응 시급하다! | 2025-10-15 | ||
| [플래스틱] 필름, 배터리‧친환경 대응 강화하라! | 2025-09-24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EP/컴파운딩] TPE, 일본, 고부가가치화 공세 강화 크레이튼, 순환경제로 대응한다! | 2025-10-0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