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융합 육성에 5000억원 투입
정부, 10년간 R&D 및 인프라 구축에 … 4대 전략품목 집중지원
화학뉴스 2012.05.14
교육과학기술부와 지식경제부는 2020년까지 총 513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나노융합 2020 사업>을 펼친다고 5월14일 발표했다.
나노융합 2020 사업은 10여년간 기초ㆍ원천 R&D(연구ㆍ개발), 인프라 기반 구축 등 투자성과를 바탕으로 신산업ㆍ신시장 조기 창출을 위한 제품지향적 R&D(Research&Business Development: 시장수요를 반영한 연구ㆍ개발) 사업이다. 교과부와 지경부는 상용화 비즈니스 모델을 기반으로 기초ㆍ원천연구부터 기술사업화까지 전주기에 걸쳐 지원한다. 2012년부터 2020년까지 국비 4322억원, 민간 808억원 등 5130억원을 투입하며 2012년 예산은 지경부 50억원, 교과부 17억원 등 67억원으로 Post CMOS형 차세대 반도체와 나노유연소자, 고효율 에너지 변환기술, 물환경ㆍ자원 처리기술 등 4대 전략품목에 집중 지원된다. 정부는 기존 R&D와 달리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과 전주기 동시 지원을 통해 사업화 성공 가능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사업화 기간도 상당히 단축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나노융합 2020 사업은 재단법인 형태로 신설될 <나노융합 2020 사업단>에서 총괄 관리하며, 5월14일 사업단장 공모를 시작으로 사업단 구성 절차에 들어간다. 정부는 나노융합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성과와 비즈니스 마인드를 보유한 최고의 전문가를 단장으로 선발할 계획이다. 사업단장 공모기간은 5월14일부터 6월13일까지이다. 1차 서류 및 2차 면접 평가를 거쳐 사업단장이 추천되고 양 부처 장관의 승인을 통해 7월 초 임명된다. <화학저널 2012/05/14>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바이오화학] 바이오산업, 인재육성에 집중해야… | 2016-08-18 | ||
[전자소재] UHD 콘텐츠 육성에 150억원 지원 | 2014-04-17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바이오화학] 바이오산업, 화학산업 미래 좌우할 대안 일본 육성에 한국 지켜본다! | 2023-06-30 | ||
[산업정책] 인디아의 PLI 제도 ②, 신재생에너지 집중 육성에 의약품도 중국 의존도 탈피… | 2022-06-10 | ||
[산업정책] 중국의 부흥, 석탄화학 육성에 “개혁” 석유화학 대국 부상한다! | 2018-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