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겨 함유 천연 실리카 정제 … 부피 팽창․수축 개선
화학뉴스 2013.07.09
국내 연구진이 벼를 도정하는 과정에서 나온 왕겨를 이용해 고용량 2차전지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KAIST(한국과학기술대학원)는 7월8일 EEWS 대학원 최장욱 교수와 생명화학공학과 박승빈 교수 공동연구팀이 왕겨에 함유돼 있는 다공성 천연 실리카(Silica)를 정제해 리튬이온 2차전지의 소재인 3차원 다공성 실리콘(Silicone) 물질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실리콘은 흑연과 비교해 용량이 3-5배 이상 크기 때문에 차세대 리튬이온 2차전지의 음극재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왕겨에는 실리콘의 원료인 실리카가 질량비율 20% 정도의 높은 순도로 함유돼 있고, 쌀을 바이러스나 해충 등 외부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기 쉽도록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연구팀은 왕겨의 표피에 있는 다공성 실리콘에서 3차원 구조의 다공성 실리콘 입자를 추출해 합성하는 데 성공했으며, 특히 충·방전 때 부피가 팽창하거나 수축하던 기존 실리콘 음극재의 문제점도 효과적으로 개선했다. 연구 결과는 폐자원으로 분류되던 왕겨를 에너지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어, 학계 및 산업계의 파급 효과가 최장욱 교수는 “기술이 상용화되면 값 비싼 나노구조 합성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도 저렴한 원료물질로부터 나노 구조의 실리콘 음극재를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 밝혔다. 연구결과는 7월9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연합뉴스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13/07/0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신재생에너지] OCI홀딩스, 폴리실리콘 하락 “타격” | 2025-04-24 | ||
[배터리] 음극재, 실리콘이 패러다임 혁신 | 2025-03-06 | ||
[화학경영] OCI, 폴리실리콘 수익성 개선 | 2025-02-07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배터리] 차세대 배터리, 고용량화 니즈 대응 가속화 전고체·태양전지 부상한다! | 2025-05-02 | ||
[반도체소재] 유리기판, 실리콘 대체 게임체인저로… 반도체 대형화도 호재로 부상 | 2025-02-28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