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K, 아시아 가격 “하락행진”
Maruzen, 17만톤 플랜트 완전 회복 … 7월 공급과잉 전환
화학뉴스 2013.07.09
아시아 MEK(Methyl Ethyl Ketone) 가격이 하락세를 계속하고 있다.
중국수요 침체의 영향으로 역외수입이 감소해 수급이 균형을 이루고 있으나 일본 동북지방 대지진의 피해를 입었던 Maruzen Petrochemical이 2013년 7월 완전 회복함으로써 공급과잉으로 전환되고 있다. 동남아시아에서는 MEK 수요가 계속 확대됨에 따라 톤당 1200달러대 후반에 거래되고 있으나 중국수요 침체가 장기화됨으로써 여름 이후 하락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MEK는 주로 도료 및 접착제 용제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아시아 생산량은 60만톤 수준으로 중국이 67%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수요는 동남아시아에서 안정적으로 신장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의 과잉물량이 유입됨으로써 역외수입이 줄어들어 수급이 균형을 이루고 있다. 이에 따라 동남아시아 가격은 톤당 1200달러대 후반을 형성하고 있는 반면 북동아시아는 1200달러대 전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Maruzen Petrochemical이 동북지방 대지진 이후 MEK 17만톤 플랜트를 50% 수준으로 낮게 가동했으나 7월부터 풀가동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돼 공급과잉으로 전환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원료 공급처인 Cosmo Oil의 Chiba 소재 유동접촉분해장치(FCC)가 7월 가동 재개하기 때문이다. Maruzen Petrochemical은 동남아시아 수출을 확대할 방침이어서 동남아시아 가격도 하락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일본 MEK 내수는 2010년 14만톤에 달했으나 2011년 Maruzen Petrochemical의 가동 중단으로 대체소재가 부상해 11만톤으로 줄어든데 이어 2012년에도 비슷한 수준에 머물렀다. 높은 용해성이 요구되는 도료용 수요는 회복됐으나 전자‧자동차용은 계속 부진했기 때문이다. 2013년 들어 자동차용은 증가세로 전환된 반면 전자용 침체가 계속되고 있어 대폭적인 회복은 기대하기 힘들다는 의견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화학저널 2013/07/09>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부타디엔, 아시아 부진 지속에 1000달러 턱걸이 | 2025-10-15 | ||
[석유화학] SM, 아시아 약세 속 글로벌도 흔들 | 2025-09-25 | ||
[석유화학] 프로필렌, 아시아 전반 보합세… | 2025-09-24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합성섬유] 카프로락탐, 카프로, 수소로 사업 전환 아시아 가동중단 잇따른다! | 2025-09-19 | ||
[제약] CDMO, 중국이 아시아·유럽 선회… | 2025-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