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흑연, 차이나리스크 대응 시급
중국, 자원보호 명분 수출 감축 … 멕시코·캐나다산 수입도 한정적
화학저널 2014.02.24
중국산 천연흑연 수입이 어려워지고 있다.
중국 정부가 정책적으로 수출을 감축하고 있는 가운데 양질의 토상흑연이 생산되는 Hunan 소재 Lutang 광산에서 트러블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일본은 철광 관련수요 침체까지 겹치면서 2012년 중국산 천연흑연 수입량이 2010년의 25% 이하로 격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상흑연도 토상흑연과 마찬가지로 중국산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나 2012년에는 중국산 수입비율이 90%에도 미치지 못했다. 일본은 차이나리스크를 회피하기 위해 공급원을 다각화하면서 노르웨이, 캐나다산 수입을 시작했다. 세계 천연흑연 생산량은 110만톤 수준으로 중국이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인디아, 브라질 등이 뒤를 잇고 있다. 인조흑연은 석유, 석탄 베이스 특수 코크스에 바인더를 추가한 후 성형, 소성에 따른 탄소화, 가열 공정을 거쳐 생산하고 있다. 표, 그래프: <일본의 중국산 토상흑연 수입동향><일본의 중국산 인상흑연 수입비율> <화학저널 2014년 2월 24일>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금속화학/실리콘] 포스코, 천연흑연 대량 확보 “성공” | 2023-05-30 | ||
[배터리] 음극재, 천연흑연계 생산 확대 | 2022-08-31 | ||
[금속화학/실리콘] 천연흑연, 중국 생산 차질로 상승 | 2022-02-16 | ||
[금속화학/실리콘] 천연흑연, 코로나에도 상승 기대 | 2020-03-11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배터리] 음극재 ①, 중국이 인조흑연 시장 장악 포스코는 천연흑연 대응한다! | 2022-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