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PE(High-Density Polyethylene) 시장은 저가 중국산에 중동제품까지 유입되면서 수익성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됐으나, 국내기업들은 수익 악화를 크게 체감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동산 유입과 중국의 자급률 상승으로 중국의존도가 높은 수출이 위협받고 있다. 2012년 HDPE 수출은 123만5549톤에 달했고 중국수출이 66만4123톤으로 53.8%에 달해 중국의존도가 높기 때문이다. 미국도 셰일가스(Shale Gas)를 바탕으로 코스트를 대폭 낮추면서 PE, EO(Ethylene Oxide), EG(Ethylene Glycol) 등 에틸렌 유도제품 증설 프로젝트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HDPE는 범용 그레이드 공급보다 새로운 특수 그레이드 개발과 신규 수요처를 찾는 것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HDPE는 비중이 0.94-0.97인 반투명 고체로 20-40기압에서 에틸렌(Ethylene)을 중합해 제조하며 국내에서는 촉매로는 Ziegler-Natta 계열 촉매나 Cr2O3-Alumina 촉매를 주로 투입하며, 촉매는 주로 생산기업이 직접 제조해 사용하고 있다. 표, 그래프: <HDPE 제조공정 비교><HDPE 수입실적(2013)><HDPE 수출실적(2013)> <화학저널 2014년 3월 3일>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HDPE, 루피화 약세·재고 부담에… | 2025-09-29 | ||
[석유화학] HDPE, 약세 속 대규모 정기보수… | 2025-09-22 | ||
[석유화학] HDPE, 동북아 약세 속 보합세… | 2025-09-15 | ||
[폴리머] 한국선급, 함정에 HDPE 적용 성공 | 2025-08-13 | ||
[석유화학] HDPE, 관세유예 종료 앞 관망세… | 2025-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