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핀, 탄소‧산소 조절기술 개발
UNIST, 산화 그래핀 개발 … 광반도체·반도체소자 분야 적용 기대
화학뉴스 2014.03.06
울산과학기술대학교(UNIST)는 신소재공학부 권순용 교수와 주재환·곽진성 연구원 연구팀이 물리적 방법으로 산소와 탄소비율 조절을 쉽게 할 수 있는 산화 그래핀을 개발했다고 3월6일 발표했다.
기존 산화 그래핀은 여러 개의 조각이 모인 형태로 산소와 탄소 비율 조절이 어려워 물리적 특성 조절이 어려웠고 조각이 겹쳐진 부분에서 접촉저항이 발생해 전기적 성질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구리의 산소 농도를 열처리를 통해 미리 조절하고 구리 내부의 결정입자 틈으로 탄소 원소를 확산하는 물리적인 방법을 통해 산소와 탄소 원자가 자발적으로 결합하도록 처리했다. 권순용 교수는 “새로 개발한 산화 그래핀은 광학적, 물리적 특성을 조절할 수 있어 광반도체와 반도체 소자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산화 그래핀을 미세소자 분야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연구는 김영운 서울대 교수팀과 함께 진행했으며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자 지원사업,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UNIST 미래도전과제 등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화학저널 2014/03/06>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나노소재] 그래핀, LiB 도전조제 적용 기대… | 2024-08-08 | ||
[석유화학] 그래핀스퀘어, 그래핀 필름 상용화 | 2024-06-17 | ||
[금속화학/실리콘] 그래핀, 기능성 반도체 적용 “성공” | 2024-01-04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금속화학/실리콘] 그래핀, 캐나다가 50만톤 양산 추진 | 2025-02-21 | ||
[나노소재] 나노카본, 고기능 CNT·그래핀 부상 일본이 신기술 개발 주도… | 2023-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