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연전극, 아시아 수요 “침체일로”
2013년 중국 철강 생산량 7억7904만톤 … 과잉생산 영향으로 수요급감
화학뉴스 2014.05.29
아시아 흑연전극(Graphite Electrode) 수요가 침체되고 있다.
최대 소비시장인 중국에서는 강철 생산이 확대되는 한편 과잉생산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흑연전극을 사용하는 전로(Converter)는 고로(Blast Furnace)보다 생산량 조정이 쉽기 때문에 악영향이 중국에 그치지 않고 아시아 전체에 영향을 미쳐 흑연전극 수요가 크게 위축되고 있다. 수요는 현재 바닥을 치고 서서히 회복되고 있지만 본격적인 회복에는 미치지 못한 상태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2013년 중국의 강철 생산량은 7억7904만톤으로 2012년에 비해 약 7.5% 증가해 역대 최고치를 갱신했다. 2014년에는 8억톤 수준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앞으로 꾸준한 증가세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과잉생산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서 중국의 생산 및 수출증가가 글로벌 철강시장 침체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중국의 생산과잉 영향으로 아시아의 전기로 가동률이 매우 저조한 상태를 기록하고 있다. 한번 가동을 시작하면 기계적인 생산조절이 어려운 고로와는 달리 전로는 배치(Batch)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생산조절이 쉽기 때문에 흑연전극 수요가 감소에 따라 가동률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시장 관계자들은 중국 철강산업 전반적인 생산과잉 문제는 당분간 해소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흑연전극 수요는 2015년 이후에 본격적으로 회복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당분간은 전로 가동률 회복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화학저널 2014/05/29>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SM, 아시아 약세 속 글로벌도 흔들 | 2025-09-25 | ||
[석유화학] 프로필렌, 아시아 전반 보합세… | 2025-09-24 | ||
[석유화학] 벤젠, 수요 위축에 아시아 정체… | 2025-09-18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합성섬유] 카프로락탐, 카프로, 수소로 사업 전환 아시아 가동중단 잇따른다! | 2025-09-19 | ||
[제약] CDMO, 중국이 아시아·유럽 선회… | 2025-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