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소금속은(Rare Metal)은 세계적으로 매장량이 극히 적고 지역 편재성이 크며 경제성 있는 추출이 어려운 금속자원으로 수급안정화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소량 첨가만으로 첨단제품, 친환경제품의 품질 및 성능 향상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산업의 비타민으로 디스플레이 패널, 휴대폰, 2차전지, 하이브리드(Hybrid) 자동차 등 산업 전반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휴대폰 배터리,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LED(Light Emitting Diode) 기판에 주로 사용되며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모터, 배기구에도 필수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텅스텐, 인듐, 코발트, 니켈, 티타늄 등 산업에 중요한 35종, 56원소를 희소금속 자원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일본은 31종, 미국은 33종을 희소금속으로 정하고 있다. 희소금속 수입액은 2007년 약 117억달러, 2008년 113억달러, 2012년 110억달러에 달했고 수입단가는 2007-2011년 사이 평균 5배 이상 급등했으나 2012년 이후 세계경기 위축의 영향으로 다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세계적인 자원보유국이자 수출국으로 활발한 자원외교, 수출입 통제를 통해 자원고갈에 대비하고 있다. 최근 희소금속은 미래 수요에 대비하기 위한 강대국의 광물자원 확보전쟁이 치열하고 국제 원자재 가격이 폭등하면서 <제2의 석유>라고 불릴 정도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표, 그래프: <희소금속 매장 현황><LCD-PDP 패널에 사용되는 희소금속><희소금속 수출입동향><주요 희소금속의 종류 및 용도 ><산업 및 환경 변화와 관련된 주요 희소금속> <화학저널 2015년 4월 13일>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금속화학/실리콘] 희소금속, 수급 안정화 시급하다! | 2023-12-18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금속화학/실리콘] 희소금속, EV 캐즘에도 수급타이트 | 2024-11-08 | ||
[EP/컴파운딩] PPS, 희소금속 리사이클 가속화 | 2023-10-13 | ||
[배터리] LiB, 희소금속 고효율 회수 기대… | 2022-06-03 | ||
[파인세라믹] 희소금속 수급정책, 미래 핵심소재 비축관리 “엉망진창” | 2018-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