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태양전지는 실리콘 태양전지의 효율화 및 제조코스트 절감 등을 바탕으로 상용화 연기가 불가피해지고 있다.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는 태양광 시장이 확대되기 위해서는 모듈의 발전효율 향상, 제조코스트 절감, 내구성 향상 등 품질 및 경제적 측면의 효율화가 필수적으로 뒷받침돼야 하기 때문이다. 태양전지는 폴리실리콘(Polysilicon)을 적용한 1세대 태양전지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일본, 유럽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DSSC: Dye Sensitized Solar Cell), CIGS(CuInGaSe2) 계열 박막 태양전지, 유기 태양전지 등 2세대 및 3세대 태양전지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차세대 태양전지는 실리콘 기반의 1세대 태양전지보다 제조코스트가 저렴해 효율만 개선하면 1세대 실리콘 태양전지를 대체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표, 그래프: <박막형 중심의 2세대 태양전지와 DSSC의 장단점 비교><DSSC와 실리콘 태양전지의 비교><롤투롤 연속인쇄를 통한 유기태양전지 모듈 제조공정(Risoe DTU)> <화학저널 2015년 6월 1일 >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에너지정책] 태양광, 차세대 시장 선점 가속화 | 2025-09-19 | ||
[배터리] SiB, 차세대 배터리 주자 “부상” | 2025-09-15 | ||
[배터리] 포스코퓨처엠, 차세대 양극재 개발 | 2025-08-21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염료/안료] 안료, M&A 통해 공급구조 재편 아시아가 차세대 주도한다! | 2025-09-12 | ||
[신재생에너지] 태양전지, 플렉서블 실증 착수 | 2025-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