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 에틸렌 초강세 지속 “죽을상”
|
에틸렌, 1400달러 상회하며 강세 지속 … PE는 수요 감소로 하락세
화학뉴스 2015.06.17
아시아 시장에서 에틸렌(Ethylene)와 PE(Polyethylene) 가격이 역전됐다.
PE 현물가격이 완만한 하강곡선을 그리는 가운데 에틸렌 가격이 수급 타이트로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 아시아에서는 에틸렌 크래커의 정기보수가 7월까지 이어지는 반면, 에틸렌을 외부에서 조달하는 PE 생산기업들은 PE 약세로 감산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PE 가격은 LDPE(Low-Density PE)가 톤당 1350달러 중후반, HDPE(High-Density PE)는 1300달러 안팎에 거래되고 있으며 5월 초부터 하락세가 계속돼 한달 동안 100달러 가까이 폭락했다. 5월 말에는 나프타(Naphtha) 시황에 따라 형성됐으나 6월 나프타가 반등했음에도 하락세가 계속되고 있다. PE 하락은 농업용 필름 성수기가 지났고 이슬람의 라마단 축제가 가까워졌기 때문으로 파악되고 있다. 반면, 에틸렌은 5월 중순 HDPE 가격을 넘어선 후 6월 들어 LDPE까지 상회하고 있다. 최근 톤당 1400달러를 넘어섰으며 나프타와의 가격 스프레드가 850달러 수준으로 벌어졌다. 아시아는 에틸렌 크래커의 정기보수가 한창으로 여천NCC가 86만톤을 보수하고 있으며 유럽은 크래커 트러블이 연달아 발생해 중동산 수입을 확대하고 있어 수급타이트가 심화되고 있다. 7월까지 일본 Mitsubishi Chemical(MCH)이 49만톤, 타이완 FPC 70만톤, Mitsui Chemical(MCC) 61만톤 크래커를 정기보수할 예정이어서 에틸렌 수급타이트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에틸렌을 외부에서 조달하는 PE 전문 생산기업들과 일관체제를 가동하고 있는 스팀 크래커 가동 석유화학기업 사이에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표, 그래프: < 아시아의 에틸렌·PE 시장동향> <화학저널 2015/06/17>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신재생에너지] 한화큐셀, APEC에서 에너지 전환 비전 제시 | 2025-10-23 | ||
| [리사이클] 삼양에코테크, PET 재활용 품질 강화 | 2025-10-23 | ||
| [리사이클] PET병, 롯데가 리사이클 의무화 선도한다! | 2025-10-22 | ||
| [석유화학] PET, MEG‧PTA 약세에 밀려 하락세로… | 2025-10-22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플래스틱] 라벨, PET 라이너 전환으로 친환경화 | 2025-10-2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