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R, 타이어용 첨가제 판매 확대
1,2-폴리부타디엔 글로벌 전개 추진 … 2015년 높은 신장률 예상
화학뉴스 2015.08.12
JSR이 독자 기술로 전개하는 신디오택틱(Syndiotactic) 1,2-폴리부타디엔(Polybutadiene)이 타이어용 첨가제로서의 채용 확대기에 접어들었다.
기존에 없는 컨셉의 첨가제로써 5-10% 사용해 타이어 내구성 및 핸들링 성능 향상에 기여한다. 2013년에 시장에 투입해 2014년에는 판매량이 전년대비 1.5배 늘어났으며, 2015년에도 글로벌 전개를 통해 주력 용도로 육성할 방침이다. 타이어 제조용 첨가제 <AT 시리즈>는 신발밑창 용도로 전개해온 <JSR RB> 제조기술을 응용했다. 1,2-폴리부타디엔은 천연고무와 상생이 좋기 때문에 가교가 용이하며 타이어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강도가 높아 마모성 및 주행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 연비가 우수한 고급 타이어에서 범용제품까지 폭 넓게 채용돼 왔다. AT 시리즈는 RB와 마찬가지로 Chiba 공장에서 생산하고 있으며 융점 차이로 2개 그레이드를 라인업 했다. 시장에 투입한지 1년 만에 판매량이 50% 가량 급증했으며 2015년에도 높은 신장률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RB는 JSR이 유일하게 제조하는 결정성 1,2-폴리부타디엔으로 판매의 80%는 신말밑창용으로 사용된다. 베트남 및 인도네시아 등 신흥국에서는 연평균 2자리대의 신장률을 나타내고 있어 융점 섭씨 126도, 경도 97의 <RB840> 그레이드를 중심으로 수요를 확보할 계획이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는 수첨 폴리머 <다이나론> 판매가 스마트폰 등의 액정용 보호필름용으로 견조한 추이를 나타내고 있다. 한국, 타이완 뿐만 아니라 중국 로컬기업들에게도 채용을 추진하고 현지에서 기술 지도를 실시해 확대 판매를 실시하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SIS(Styrene Isoprene Styrene)는 핫멜트 점‧점착제 뿐만 아니라 경피흡수제재 용도도 성장 분야로 규정하고 있다. <화학저널 2015/08/12>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반도체소재] JSR, 반도체 소재로 적자 탈출 | 2025-08-29 | ||
[반도체소재] JSR, 청주에 레지스트 공장 건설 | 2024-11-12 | ||
[반도체소재] JSR, 오창 EUV 레지스트 공장 건설 | 2024-08-30 | ||
[EP/컴파운딩] 에네오스, JSR 인수 효과 극대화 | 2022-01-25 | ||
[합성고무] 천연고무, 타이어용 수요 침체로… | 2021-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