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B에게 Technyl One 공급 … 할로겐 무함유 난연특성이 강점
화학뉴스 2015.10.22
Solvay Engineering Plastics(Solvay EP)이 전력 및 자동화 기술 글로벌기업 ABB에게 자사의 혁신적인 PA(Polyamide) 수지 <Technyl One>을 공급한다.Technyl One은 에너지 관리와 건물 자동화를 위한 전기 방지에서 안전, 소형화, 생산효율과 같은 주요 문제점들을 해결해 주는 Solvay EP의 주요제품이다. Technyl One J 60X1 V30은 0.4mm의 얇은 두께에서 UL94 V0 등급을 제공하는 것 이외에도 뛰어난 열적 노화 특성과 높은 CTI 등급을 제공하는 할로겐 무함유 난연 소재이다. ![]() 뛰어난 유동성과 내열성 뿐만 아니라 우수한 전기적 특성 및 할로겐 무함유 내화 특성을 갖추고 있으며, 전기 장치 보호와 같은 응용 분야에서 적합성을 성공적으로 입증한 바 있다. 소형 회로 차단기(MCB), 몰드형 케이스 회로 차단기(MCCB), 높은 전류와 내열성이 요구되는 컨택터 부품 등에 주로 채용되고 있다. ABB의 작스 듀몽스(Jacques Dumoux) 저전압 플래스틱 소재 사업 책임자는 “Technyl One J 60X1 V30은가공이 쉽고 기능성이 뛰어나 ABB의 신규 컨택터 설계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전기 과부하 테스트에서 표면적인 특성을 효과적으로 유지했다”고 밝혔다.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소형화와 기능성은 항상 전기‧전자 산업의 도전 과제이다. Solvay EP의 제임스 미첼(James Mitchell) 글로벌 전기‧전자 시장 책임자는 “최근 10년 동안 EU 지침 RoHS와 REACH(SVHC) 규정은 난연도 기술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전세계 전기‧전자 관련기업들이 할로겐 무함유 플래스틱을 추구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Technyl One은 할로겐을 함유하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뛰어난 유동적 특징으로 부식을 막고 장비를 보호하며 가공공정과 생산제품의 전반적인 균일성을 확보토록 하기 때문에 OEM의 경제적 측면과 가공과정에서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 Technyl One J 60X1 V30은 2016년 발효 예정인 새로운 유럽 기준 <EN 45545-2>를 만족시키고 있다. 최고 수준의 저연 성능을 보유하고 있어 R22, R23에 대해 HL3로 분류되며 현재 제공되는 생산제품에는 내추럴, 그레이, 블랙 등이 있다. <이하나 기자> <화학저널 2015/10/22>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리사이클] 솔베이, 의료용 플래스틱 리사이클 | 2022-05-18 | ||
[자동차소재] 솔베이, 금속 표면처리 솔루션 강화 | 2022-03-11 | ||
[첨가제] 솔베이, 아시아 반응억제제 공략 | 2021-07-20 | ||
[EP/컴파운딩] 솔베이, 친환경 PPA 공급 본격화 | 2021-05-28 | ||
[산업용가스] KNW, 솔베이 불소가스 사업 인수 | 2020-11-16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