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천NCC와 롯데케미칼이 C5 모노머 가동을 앞두고 있으나 명확한 수요처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C5 시장은 수요와 공급이 비슷한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으나 NCC(Naphtha Cracking Center)의 증설로 생산량이 꾸준하게 늘어나고 있다.
특히, C5 모노머 사업은 석유화학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해 필요하지만 근본적으로 수요가 부족해 공급과잉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여천NCC(대표 박종국·정진원)는 2014년부터 1500억원을 투자해 여수에 DCPD(Dicyclopentadiene) 7만톤, IPM(Isoprene Monomer) 4만톤, PIP (Piperylene) 3만톤 플랜트를 건설하고 있으며 2016년 상반기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롯데케미칼(대표 허수영)은 생산능력이 IPM 3만톤, DCPD 5만톤, PIP 2만톤으로 2016년 2/4분기 가동 예정이다.
양사 모두 이소프렌을 메인으로 생산할 예정이나 이소프렌은 국내수요가 2만톤에도 미치지 못해 수출에 주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소프렌은 세계수요가 77만톤 수준으로 러시아, 미국, 일본, 중국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중국 시장이 성장하지 않는다면 이소프렌 신규진입이 어려운 상태이다.
이소프렌 투자는 나프타(Naphtha) 베이스 이소프렌 생산량 감소가 가장 큰 요인이 되고 있다.
미국이 셰일가스(Shale Gas) 생산을 확대함으로써 나프타 투입이 줄어들며 C5 유분 생산량 자체가 감소하고 있어 이소프렌 생산 감소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일본도 설비 노후화 등을 이유로 나프타 크래커를 폐쇄하고 있어 유럽과 일본의 공급부족에 따른 가격 상승이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국제유가 폭락으로 이소프렌을 분리해 판매해도 수익성이 높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DCPD 역시 코오롱인더스트리 외에는 수요기업이 없어 코오롱인더스트리의 선택이 주목되고 있다.
코오롱은 C5, C9, DCPD 수첨을 통해 석유수지(Petroleum Resin)를 생산하고 있으며 생산능력이 15만톤에 달하고 있다.
국내에서 독점 생산하고 있지만 수요기업의 만족도가 높아 경쟁기업이 진출해 공급 확대를 꾀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DCPD와 C5를 혼용해 석유수지를 생산하고 있으며 공급가격에 따라 원료 공급처를 전환할 가능성이 예고되고 있다. DCPD를 직접 생산하는 것보다 분리된 유분을 구입하는 것이 더 저렴할 때 구매를 결정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DCPD는 중국산 수입으로 경쟁이 불가피해짐으로써 국내시장에서 높은 가격을 받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여천NCC와 롯데케미칼은 석유수지 생산까지 고려할 가능성이 있지만 석유수지는 시장규모가 작고 코오롱인더스트리의 오랜 독점으로 시장점유율 확대가 어려워 가능성은 희박한 편이다.
다만, C5 모노머 플랜트 가동 이후에는 DCPD, 이소프렌, PIP용 C5 판매 중지가 확실시되고 있어 코오롱인더스트리의 대응이 주목되고 있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C5에서 DCPD 원료만 추출한 뒤 다시 C5 생산기업에게 재판매하고 있지만 DCPD 분리 기술력은 코오롱인더스트리가 훨씬 앞서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DCPD를 분리해도 고순도 DCPD를 분리할 기술력이 떨어지면 코오롱인더스트리는 DCPD를 구매할 유인이 없을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여천NCC와 롯데케미칼은 “C5를 판매하던 것에서 분리해 판매하는 것으로 전환하는데 그치기 때문에 관계가 트러질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다.
한편, 국내 C5 생산기업들은 롯데케미칼과 여천NCC의 모노머 사업 진출을 계기로 협상력 강화를 기대하고 있다.
C5는 롯데케미칼과 여천NCC의 생산능력 5만1000톤을 제외하면 LG화학 2만5000톤, SK종합화학 2만톤, 대한유화 5000톤으로 5만톤밖에 남지 않아 일시적인 강세가 예상되고 있다.
일본 Zeon도 일본의 NCC 생산능력 감축이 가시화되면서 한국산 C5 구매를 확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장 관계자는 “여천NCC와 롯데케미칼이 C5 모노머 사업에 진출하면 일시적으로 C5 공급물량이 부족해 가격상승 여지가 발생할 수밖에 없어 협상 주도권 확보가 기대된다”며 기대감을 표시했다.